뉴스의 탈을 쓴 유언비어…'가짜 뉴스' 주의보, "SNS로 무차별 확산…사회적 손실 연30조원"

■ 금주의 시사용어

가짜 뉴스언론 기사의 형태로 유포되는 거짓 정보를 뜻해요. SNS로 삽시간에 퍼지고 사회 갈등을 부추기는 등 폐해가 심각해요. 선거철에 나도는 가짜 뉴스는 특히 경계해야 해요.

인공지능(AI)를 이용해 가짜 뉴스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팩트체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기술은 2020년까지 11억6100만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선거전이 치열했던 지난 미국 대선에서는 ‘가짜 뉴스(fake news)’가 활개를 쳤다. 《교황, 트럼프 지지 선언》 《클린턴, 이슬람국가(IS)에 무기 판매》 같은 황당한 내용이지만 실제 표심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미국 버즈피드에 따르면 선거 전 3개월간 가장 인기있었던 가짜 뉴스 20건의 페이스북 반응(공유·좋아요·댓글)은 871만건에 달했다. CNN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유력 매체 인기기사 20건의 반응(736만건)을 훌쩍 넘어선 수치다.가짜 뉴스는 ‘언론 보도처럼 포장된 허위정보’를 말한다. 정치적·상업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유포된다는 점에서 단순 오보나 패러디와는 차이가 있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국민투표 때는 “영국이 EU에 매주 3억5000만파운드를 갖다 바친다”, 인종 대립이 심해진 독일에선 “메르켈 총리는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히틀러의 딸”이라는 짝퉁 뉴스가 사회 갈등을 부추겼다.

가짜 뉴스는 어쩌다 ‘지구촌의 골칫덩이’가 됐을까. 전문가들은 대중의 뉴스 소비 방식이 신문·방송 등 전통매체에서 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톡 같은 SNS 기반으로 급변한 점을 배경으로 꼽는다. 콘텐츠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온라인 세상에서 ‘기사’로 감쪽같이 위장한 허위정보는 더 쉽게 받아들여지고, 더 널리 전파된다는 것이다. 전통매체를 멀리하는 젊은 층일수록 이런 경향이 강하다.

한국에서도 가짜 뉴스가 기승을 부릴 조짐이다. 탄핵 정국에서 헌법재판소에 관한 출처 불명의 짝퉁 뉴스가 난무했고, 아예 신문처럼 인쇄해 집회에 배포되는 일도 있었다. 민영 고려대 교수는 “뉴스의 신뢰성에 기대어 퍼지는 가짜 뉴스는 역설적으로 기존 제도권 언론에 대한 대중의 불신을 보여주는 현상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현대경제연구원은 가짜 뉴스를 방치하면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연간 30조9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뉴스의 1%가 가짜로 채워진다고 가정하면 국내총생산(GDP)의 1.9%에 이르는 손실이 발생한다는 분석이다. 정민 연구위원은 “가짜 뉴스는 개인과 기업에 피해를 주고 사회적 신뢰 저하, 정치적 극단주의 등을 유발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AI를 비롯한 각종 기술을 접목해 가짜 뉴스를 걸러내려는 연구도 활발해졌다. ‘가짜 뉴스의 온상’으로 비난받던 구글, 페이스북은 유력 언론사들과 손잡고 온라인 기사의 진위를 검증하는 ‘크로스체크 프로젝트’에 동참했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