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한경] 'MIT 수학강의 300만명 들었다'…페북 타임라인 뜨겁게 달궈
입력
수정
지면A20
20일자 기사가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을 사로잡았다. 2012년 첫선을 보인 이후 진화를 거듭해온 온라인 대중공개 강연(MOOC·무크)이 기존 대학 시스템을 무너뜨릴 수 있어서다.
이미 세계 최대 무크 플랫폼인 코세라를 비롯해 하버드대와 MIT가 함께 만든 에드엑스, 유다시티 등에는 강좌 수만 2700여개. 학생 수는 3600만명에 달한다. 누구나 스마트폰과 PC를 통해 글로벌 명문대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덕분에 빠른 시간에 성장했다. 대다수 강좌는 돈을 내면 이력서에 올릴 수 있는 정식 수료증도 준다. 한국에서는 연세대와 KAIST, 서울대가 강의를 개설했다. 이 기사는 페이스북 게시 이후 8만여명의 타임라인에 올랐고, 기사공유만 500여회를 기록했다. 대부분 네티즌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강연에 돈 내는 것이 아깝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18일자 <직장은 있어도 직업은 없는 사회…‘업의 본질’을 되묻다> 기사는 ‘일의 본질’을 찾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실어 큰 주목을 받았다. “자신이 진짜로 원하는 것을 좇는 퇴사자들은 패배의 넋두리가 아니라 희망의 꿈을 들려준다” “죽을 만큼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찾도록 도와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등 네티즌들의 공감이 이어졌다.
최진순 기자 soon69@hankyung.com
이미 세계 최대 무크 플랫폼인 코세라를 비롯해 하버드대와 MIT가 함께 만든 에드엑스, 유다시티 등에는 강좌 수만 2700여개. 학생 수는 3600만명에 달한다. 누구나 스마트폰과 PC를 통해 글로벌 명문대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덕분에 빠른 시간에 성장했다. 대다수 강좌는 돈을 내면 이력서에 올릴 수 있는 정식 수료증도 준다. 한국에서는 연세대와 KAIST, 서울대가 강의를 개설했다. 이 기사는 페이스북 게시 이후 8만여명의 타임라인에 올랐고, 기사공유만 500여회를 기록했다. 대부분 네티즌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강연에 돈 내는 것이 아깝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18일자 <직장은 있어도 직업은 없는 사회…‘업의 본질’을 되묻다> 기사는 ‘일의 본질’을 찾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실어 큰 주목을 받았다. “자신이 진짜로 원하는 것을 좇는 퇴사자들은 패배의 넋두리가 아니라 희망의 꿈을 들려준다” “죽을 만큼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찾도록 도와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등 네티즌들의 공감이 이어졌다.
최진순 기자 soon6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