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대통령 법정 세운 13가지 혐의 살펴보니

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검찰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범죄사실로 적시한 혐의는 총 13개다. 기존 제1기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하면서 박 전 대통령이 공모했다고 밝힌 8개 혐의에 뇌물수수 등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새로 밝힌 5개 혐의를 추가했다.

가장 주목받는 혐의는 대기업들이 재단법인 미르와 K스포츠에 774억원을 출연하는 과정에 관여한 혐의다. 검찰은 이런 행위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강요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개별 기업과 관련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강요 혐의도 5개에 이른다. 현대차가 KD코퍼레이션과 약 11억원의 납품계약을 하고 광고업체 플레이그라운드와 약 71억원 상당의광고 계약을 하게 한 혐의, 롯데 계열사가 K스포츠에 75억원을 추가 출연하라고 요구한 혐의가 대표적이다.

포스코 그룹이 펜싱팀을 만들어 최 씨가 세운 더블루케이가 매니지먼트 업무를 맡도록 압박한 혐의, KT가 최 씨 지인을 홍보담당자로 채용하고 플레이그라운드와 68억여원 상당의 광고 계약을 하게 한 혐의, 그랜드코리아레저(GKL) 장애인 펜싱팀 창단에 개입한 혐의도 있다.

삼성과 관련해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승계를 돕는 대가로 최순실씨와 공모해 총 298억원의 뇌물을 수수했다고 판단했다. 여기에는 앞서 검찰이 강요로 본 삼성의 미르·K재단 출연금 204억원이 포함됐다.문화예술계 지원·배제 명단(일명 블랙리스트)과 관련해서는 특정 개인이나 단체에 지원·배제를 지시했거나 관여한 혐의, 블랙리스트 실행에 소극적으로 임한 1급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원 3명의 사직을 강요한 혐의, 체육계 감사에서 청와대 측 의중과 다른 보고서를 낸 노태강 전 문체부 국장의 인사에 불법적으로 개입하도록 한 혐의 등을 받는다.

이밖에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의 기밀 문건 유출 지시, CJ그룹 이미경 부회장 퇴진 강요미수, 최 씨 측근인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본부장 승진 청탁 등의 혐의도 받는다.

박 전 대통령 측은 뇌물수수 등 주요 혐의를 부인해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