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세 탄 세계경제] 부활하는 신흥국…미국 금리인상에도 자본유입 늘어
입력
수정
지면A4
1분기 순유입 580억달러, 2015년 1분기 이후 최대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월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에서 신통치 않았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성장세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같은 전망은 생각보다 빠르게 현실화하는 분위기다. 민간 기구인 캐피털이코노믹스의 비공식 통계치에 따르면 신흥국 평균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12월 4.1%(연율 환산)에서 지난 1월 4.4%로 상승하는 추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2일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신흥국이 성장 모멘텀을 맞고 있다”고 평가했다.미국과 유럽 등 중앙은행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후 지속해온 양적완화(QE) 정책의 출구전략을 모색하고 있지만 신흥국으로의 자본 유입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지난달 신흥 25개국 비거주자 포트폴리오 자금(주식 및 채권투자)은 298억달러(약 33조4000억원) 증가해 순유입세가 지속됐다. 지난달 중순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를 올린 것은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신흥국 1분기 누적 순유입 금액은 580억달러로 2015년 1분기(592억달러) 후 최대치였다. MSCI 이머징마켓(EM) 지수는 지난달 31일 기준 958.37로 2012년 1분기 후 5년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뒤 급락한 멕시코 페소화 가치도 미국 대선 전 수준을 회복했다. 인도는 작년 말 화폐개혁으로 인한 혼란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경제성장률(지난해 4분기 7.0%)을 기록하며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베트남과 태국 등 아시아 신흥국 성장세도 꾸준하다.다만 신흥국이라고 전부 사정이 좋을 리는 없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지난주 시장 친화적이던 재무장관의 갑작스러운 경질 사건으로 통화가치가 폭락하고 국가 신용등급도 투기등급(S&P 기준)으로 떨어졌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