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 지지율] 양자대결시 문재인 40.8% < 안철수 47.0% (YTN 긴급 여론조사)
입력
수정
각 당의 대선 후보들이 모두 확정된 시점에 맞춰 YTN과 서울신문이 공동으로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민주당 문재인,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양강 구도를 형성했으며 현재는 안 후보가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대선에 출마를 선언한 후보 6명의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문재인 38.2%, 안철수 33.2%로 오차범위 내인 5%포인트 차이를 보였고, 홍준표 10.3%, 심상정 3.5%, 유승민 2.7%, 김종인 1.2% 순이었다.4자 대결은 보수 진영에서 어떤 후보와 맞붙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랐다.홍준표 후보가 나오면 문재인 후보가 오차범위 내인 2.6%포인트 차로 앞섰다.
문재인 38.8 / 안철수 36.2 / 홍준표 11.4 / 심상정 4.0순으로 나타났다.하지만 유승민 후보가 나올 경우에는 안철수 후보가 오차범위 내인 2%포인트 차이로 역전하는 것으로 나왔다. 안철수 41.0 / 문재인 39.0 / 유승민 4.0 / 심상정 3.1순이다.
양자 대결에서는 안철수 47%, 문재인 40.8%로 6.2%포인트 차이, 정확히 최대 오차범위 내에 머물면서 두 후보가 대결 구도에 따라 엎치락뒤치락 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설문에 응한 전체 유권자들 가운데 62.1%는 문 후보가 다음 달 대선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문 후보에게 호감이 간다고 답한 비율은 안 후보에 비해 적었다. 문 후보에게 호감이 간다고 한 유권자는 전체의 43.8%, 비호감도는 37.7%지만, 안철수 후보의 호감도는 과반이 넘는 53.5%에 비호감도는 24.2%로, 안 후보가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였다.이번 조사는 YTN·서울신문이 엠브레인에 의뢰한 것으로 4월 4일 오후 1시~ 밤 9시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42명(가중 후 1,000명)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RDD를 통해 조사됐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면접(유선 39.2%, 무선 60.8%)이었으며 응답률은 14.1% (유선 10.2%, 무선 18.6%)이었다. (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이번 대선에 출마를 선언한 후보 6명의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문재인 38.2%, 안철수 33.2%로 오차범위 내인 5%포인트 차이를 보였고, 홍준표 10.3%, 심상정 3.5%, 유승민 2.7%, 김종인 1.2% 순이었다.4자 대결은 보수 진영에서 어떤 후보와 맞붙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랐다.홍준표 후보가 나오면 문재인 후보가 오차범위 내인 2.6%포인트 차로 앞섰다.
문재인 38.8 / 안철수 36.2 / 홍준표 11.4 / 심상정 4.0순으로 나타났다.하지만 유승민 후보가 나올 경우에는 안철수 후보가 오차범위 내인 2%포인트 차이로 역전하는 것으로 나왔다. 안철수 41.0 / 문재인 39.0 / 유승민 4.0 / 심상정 3.1순이다.
양자 대결에서는 안철수 47%, 문재인 40.8%로 6.2%포인트 차이, 정확히 최대 오차범위 내에 머물면서 두 후보가 대결 구도에 따라 엎치락뒤치락 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설문에 응한 전체 유권자들 가운데 62.1%는 문 후보가 다음 달 대선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문 후보에게 호감이 간다고 답한 비율은 안 후보에 비해 적었다. 문 후보에게 호감이 간다고 한 유권자는 전체의 43.8%, 비호감도는 37.7%지만, 안철수 후보의 호감도는 과반이 넘는 53.5%에 비호감도는 24.2%로, 안 후보가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였다.이번 조사는 YTN·서울신문이 엠브레인에 의뢰한 것으로 4월 4일 오후 1시~ 밤 9시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42명(가중 후 1,000명)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RDD를 통해 조사됐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면접(유선 39.2%, 무선 60.8%)이었으며 응답률은 14.1% (유선 10.2%, 무선 18.6%)이었다. (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