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중소벤처부와 창업중기부 차이

이민하 중소기업부 기자 minari@hankyung.com
중소기업계가 정치권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지난 10, 11일 하루 간격으로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았다. 중소기업인을 직접 만나는 강연회에 참석했다.

두 후보의 강연 방식은 대조적이었다. 문 후보는 자막기(프롬프터)를 보며 미리 준비한 강연문을 그대로 읽었다. 차분한 분위기였지만 정책 공약이 하나씩 나올 때마다 좌중에서 큰 박수가 나왔다. 중소기업 단체들이 평소 요구한 내용을 거의 빼놓지 않고 언급해서다. 민감한 현장 질문도 무난히 받아넘겼다. 근로시간 단축을 미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주 52시간을 지켜야 직장인도 저녁과 휴일을 가질 수 있다”며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부담을 기업에만 지우지는 않겠다”고 말해 박수를 받았다.안 후보의 첫마디는 “무선 마이크를 주세요”였다. 그는 마련된 단상을 치우고 무선 마이크를 잡더니 원고도 없이 자신의 벤처창업 이야기를 시작했다. 가벼운 농담과 과거 경험담을 섞어가며 줄곧 자유로운 분위기를 이끌었다. 경제 상황과 정책을 말할 때는 단호한 어조로 긴장감을 유지했다. 한 기업인은 “700여명의 청중을 앞에 두고 자료 하나 없이 여유 있게 얘기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감탄했다.

전달 방식은 달랐지만 두 후보의 중소기업 정책은 엇비슷했다. 중소기업청 승격, 공정거래위원회 강화, 중기 일자리 창출, 중기 취업자에 대한 임금 지원 등 큰 맥락이 일치했다. 중기청을 승격하는 데 부처명을 ‘중소벤처기업부’로 하냐, ‘창업중소기업부’로 하냐가 가장 큰 차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기청 새 명칭이 중요한 게 아니라 승격 이후 역할이 핵심인데 그런 알맹이가 없었다”고 아쉬워했다.

대선후보들이 중소기업계에 관련 부처를 승격시키고 지원책들을 약속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소기업 대통령’을 자처한 후보도 많았다. 그러나 당선 후 공약이 현실이 된 사례는 많지 않았다. 표심만 챙기느라 현실성 있는 공약은 챙기지 못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민하 중소기업부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