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동존이(求同存異)' 외치던 시진핑 "구동화이(求同化異) 노력"…'사드 갈등' 해소 의지
입력
수정
지면A5
문재인 대통령 시대 - 중국 정상과 '전화 회담'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전화통화로 그동안 꽁꽁 얼어붙었던 한·중관계가 ‘해빙 무드’에 접어들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시 주석은 중국 국가주석으로는 처음으로 한국 대통령에게 당선 축하전화를 했다. 지난 10일에는 주요국 정상 중 제일 먼저 축전을 보내 문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한·중관계 개선을 위해 굉장히 적극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축하…40분간 통화
문재인 "한국 기업에 대한 사드 제재 해결" 요청
조기 정상회담 합의…이르면 7월께 중국 방문
◆관계 개선 신호 보내는 中청와대에 따르면 11일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40여분간의 전화통화에서 한·중관계 발전 방향과 한반도 정세에 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은 두 번째 전화통화다.
시 주석은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에 관한 중국의 기본 입장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며 “양국 간 소통이 조속히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사드 문제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과 국민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국 측의 경제제재 조치가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CCTV 등 중국 관영 언론들은 시 주석과 문 대통령 간 전화통화 내용을 보도하면서 사드 문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그러나 관영 언론을 통해 공개된 시 주석의 ‘워딩’에 주목하고 있다.
시 주석은 한·중관계 발전 방향과 관련해 “양측은 수교할 때의 초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며 “구동화이(求同化異)를 위해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중국은 통상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표현할 때 ‘구동존이(求同存異)’라는 표현을 쓴다. ‘차이점은 인정하되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자’는 뜻이다. 반면 구동화이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면서 이견이 있는 부분도 잘 화해하자’는 뜻이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시 주석이 사드로 인한 한·중 갈등을 해결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우회적이지만 굉장히 적극적으로 표현했다”며 “조만간 아주 좋은 일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관영 언론도 분위기 조성
중국 관영 언론도 문 대통령 당선 이후 한·중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보도다.
인민일보는 이날자 신문 1면 오른쪽 상단에 ‘시진핑 주석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축하 전문을 보냈다’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주요국 선거 이후 시 주석이 축전을 보내는 것은 관례지만 인민일보가 이 소식을 1면에 게재한 것은 이례적이다. 인민일보는 중국 공산당의 결정을 전하는 최고 권위의 매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보도는 한·중관계 개선 의지를 공식화한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중국이 한국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사드 갈등 해결에 나설 것이란 점은 어느 정도 예견됐다. 중국은 작년 말부터 한국에 전방위적 경제보복 조치를 취하다가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판결을 내리자 수위 조절에 들어갔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집권 이후를 대비해 지난 1월 송영길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방중단을 중국에 파견해 중국 측 인사들과 사드 문제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 중국 정부 측에선 왕이 외교부장(장관)이 방중 의원단을 만났을 정도다. 당시 한·중 정부 당국자 간 대화가 사실상 단절된 상황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환대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르면 7월께 정상회담
한·중 정상은 이번 전화통화에서 조기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 정상회담은 문 대통령이 먼저 중국을 방문하고, 추후 시 주석이 한국을 방문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따라서 사드 갈등 해결의 변곡점은 문 대통령의 첫 중국 방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박 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첫 정상회담은 박 전 대통령 취임 4개월 후인 2013년 6월 이뤄졌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은 이보다 빨리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한·미 정상회담이 이르면 6월께 열릴 것이란 점을 고려하면 한·중 정상회담은 일러야 7월께 열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정인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