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문·홍제·난곡·화곡 등 53곳, 서울시가 '동네상권' 개발 밀어준다
입력
수정
지면A25
서울시, 생활권계획 발표…'비강남권 중심' 상업지역 192만㎡ 확대서울시가 15일 발표한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은 지역균형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대적으로 낙후한 서울 동북·서북·서남권의 업무·상업 기능을 강화해 자족기능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전문가들은 상업지역으로 바뀔 비강남권 지역의 역세권, 대로변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했다.◆비강남권 집중 개발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은 2014년 발표된 서울시 기본 도시계획인 ‘2030 서울플랜’의 후속계획이다. 실생활 반경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지역발전 방향을 담았다. 기존 3도심(한양도성·강남·여의도), 7광역중심(용산·청량리왕십리·창동상계·상암수색·마곡·가산대림·잠실), 12지역중심에 53곳의 지구중심을 새로 추가했다. 장한평·구의·수락·월계 등 동북권 17곳을 비롯해 홍제·응암 등 서북권 6곳, 개봉·구로·화곡·강서 등 서남권 20곳 등이다. 전체 대상 지역의 81%가 비강남권이다.서울시는 또 낙후지역 개발을 위해 상업지역 면적도 192만㎡ 늘리기로 했다. 이 가운데 유보물량을 제외한 134만㎡는 기존 인구, 일자리, 상업지역 면적 등을 고려해 주로 동북·서남·서북권에 배분한다. 동북권 59만㎡, 서북권 18만㎡, 서남권 40만㎡, 동남권 17만㎡ 등이다. 58만㎡는 전략지역으로 지정을 유보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상업지역을 배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주로 지구중심에서 상업지역으로 바뀌는 곳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상업지역 대상지는 자치구가 중심이 돼 결정한다. 자치구에서 세부개발계획을 수립해 시에 상업지역 지정을 요청하면 시가 중심지계획, 공공기여 적정성 등을 검토한 뒤 지정한다.
주거용적률 400%로 상향 …주상복합 아파트 80%로 높여
온수역 산업·문화 복합거점…중랑천 물재생센터 등 추진
전문가들 "종상향 혜택 기대…역세권·대로변 장기적 투자를"
개발이 저조한 상업지역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규제도 완화한다. 상업지역 내 주상복합 아파트 비율을 기존 70%에서 80%까지 높여주고 주거 용적률을 400%까지 일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올해 안에 관련 조례를 개정할 방침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그간 개발이 동남권에만 집중되고 나머지 지역은 소외돼왔다”며 “소외지역의 상업지역 확대와 개발 활성화를 통해 개발 격차를 확실하게 줄일 것”이라고 강조했다.서울시는 중심지별 발전 방향과 세부 사업도 제시했다. 각 권역 중심지와 동북권은 중랑천 물재생센터, 장한평 일자리 거점 등 역세권 복합거점 육성사업 등을 통해 자족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서남권에선 구로차량기지 재생사업, 온수역 일대 산업, 문화 복합거점 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북권에서는 홍제의료클러스터, 서부터미널 일대 복합개발,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조성 사업 등을 통해 지역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종상향 가능성 있는 곳 노려야
전문가들은 서울시내 상업지역이 확대되는 것은 장기적으로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 상업지역은 모두 2572만㎡로 서울 면적의 4.2%에 그친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수석위원은 “상업지역으로 바뀌면 더 높고 넓은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된다”며 “지역 내 돈의 유입 흐름도 좋아져 땅값이 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번에 새로 지정된 지구중심의 역세권이나 교차로 대로변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주목하라는 조언도 나왔다. 양용화 KEB하나은행 부동산자문센터장은 “이미 가격이 높은 상업지역 건물보다 역세권이나 교차로 주변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투자해 향후 종상향에 따른 가격 상승을 노리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동북·서북·서남권 지역을 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만 한다고 해서 단기간에 가치가 높아질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조수영/선한결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