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특사 만날 중국 지도부 '입'에 주목…내달 제주 AIIB 총회가 '분기점' 될 수도
입력
수정
지면A5
'사드 보복' 푸는 중국
한·중 외교 일정에 '촉각'
중국 '사드배치 철회' 고집 땐 정상회담 이후로 늦춰질 듯

최근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사드 보복 조치 해제 조짐이 나타난 결정적인 계기는 지난 11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당선 축하 전화통화다. 당시 시 주석은 주요국 정상 중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문 대통령에게 전화해 한·중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는 의지를 보였다.14, 15일 베이징에서 열린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 한국 대표단을 파견해 달라는 시 주석의 요청을 문 대통령이 즉각 수용해 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베이징에 급파한 것도 한·중 관계 개선에 힘을 보탰다. 중국 측은 급작스럽게 베이징을 방문한 박 의원과 시 주석 간 약식면담 일정까지 주선하면서 한국 대표단을 환대했다.
전문가들은 사드 보복 조치 해제의 1차 분기점이 중국 특사로 확정된 이해찬 전 총리의 방중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16일 “이 전 총리가 18일 중국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이 전 총리 방중 기간에 시 주석이나 리커창 총리를 비롯한 최고지도부가 한·중 인적 교류와 경제 교류를 확대하자고 언급할 경우 사드 보복 조치 해제를 알리는 시그널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다음달 16~18일 제주도에서 열리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연차총회가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AIIB 총회 때 중국인들이 제주도를 많이 방문할 것이기 때문에 이때를 기점으로 자연스럽게 단체관광 금지령을 풀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이 사드 배치 철회를 고집하면 보복 조치 해제 시점은 시 주석과 문 대통령 간 정상회담 이후가 될 가능성도 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