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먹는 하마' 김해·용인 경전철은 일단 한숨 돌려
입력
수정
지면A5
의정부 경전철 파산파산한 의정부 경전철뿐 아니라 운행 중인 부산~김해 경전철과 용인 경전철도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한 지 오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3월 부산·김해시와 부산~김해 경전철 사업구조를 바꾸는 데 합의했다. 이 경전철은 민간자본 8320억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예산 1974억원 등 1조3236억원을 들여 2011년 9월 개통했다.
최소 수입보장 MRG서 비용보전방식으로 바꿔
그러나 개통 후 수요가 당초 예측치의 20% 안팎에 머물러 부산시와 김해시가 지원해야 할 돈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방식으로 진행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 경전철의 하루 수송인원은 예측 대비 21.6%인 5만222명에 그쳤다. 결국 개통 후 지난해까지 5년간 부산·김해시는 2124억원을 이 경전철에 쏟아부었다.이 경전철은 국토부와 부산·김해시 합의에 따라 사업구조가 지난달부터 ‘비용보전 방식’으로 바뀌었다. 비용보전 방식은 총비용(투자 원금·이자·운영비용 등)을 정해놓고 운행 수입이 여기에 미치지 못하면 차액만 지원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사업구조 변경에 따라 부산~김해 경전철 운영기간인 2041년까지 총 3000억여 원의 지방재정 부담을 덜게 됐다.
용인 경전철(에버라인)도 우여곡절이 많다. 이 경전철 건설에는 민간자본 6354억원, 정부와 지자체 예산 1304억원 등 총 1조32억원이 들어갔다. 그런데 2010년 10월 공사를 마치고도 2년6개월 뒤인 2013년 4월에야 개통했다. 당초 MRG 방식으로 진행하면 적자가 불 보듯 뻔할 것을 예상한 용인시가 사업구조를 비용보전 방식으로 바꾸기 위해 협상을 벌였기 때문이다.사업구조 변경에도 불구하고 용인 경전철은 ‘텅 빈 경전철’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하루 수송인원은 예측치의 15%에 불과한 2만5872명에 그쳤다. 용인시는 2013년부터 작년까지 총 1068억원을 이 사업 적자를 메우는 데 쏟아부었다.
2009년 이후 추진하는 민자사업부터 MRG가 폐지돼 앞으로 이 같은 부실 사업이 반복될 가능성은 줄었다. 그러나 포퓰리즘에 휩싸여 무분별하게 추진하는 민자 철도사업은 언제라도 부메랑으로 돌아와 국민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