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뉴딜' 수혜 구도심 주목…"서울 강북 가장 유망" 43%

문재인 정부 시대 재테크 - 부동산

"서울 오르고 수도권 보합"
"재건축 이슈 강남 투자" 31%…부처 추가이전 세종시도 관심

다주택자 과세 강화 대비
보유세 오르고 과태료 예고…임대사업자 등록해 절세를
문재인 정부 시대에는 집값이 계속 오를까. 또 어떤 부동산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할까. 한국경제신문이 전문가들을 상대로 실시한 ‘문재인 정부 시대 재테크 관련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최근 들썩이고 있는 서울과 세종시 등의 집값이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 대상으로는 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도시재생 뉴딜’에 따라 각 지역 구(舊)도심을 주목하라는 조언이 나왔다. 도시재생 취지에 걸맞은 소규모 주택정비사업(가로주택정비, 자율주택정비, 빈집정비 등)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보유세 인상 등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다주택자는 임대사업자 등록을 서두르라는 의견도 많았다.
◆서울 맑음, 지방 흐림문재인 정부 5년간 지역별 차별화 현상이 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서울 아파트값에 대해선 응답자의 75%가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김승배 피데스개발 사장은 “서울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데다 각종 정비사업에 따른 멸실이 늘어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도 “서울로 인구 집중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실제로 새 정부 출범 후 서울, 세종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0.3% 올랐다. 올 들어 주간 기준 최대 상승률이다. 세종시 3.3㎡당 평균 매매가는 지난 2월 820만원에서 이달 885만원으로 3개월 만에 8%가량 올랐다.

반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과 지방은 이와 달리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하다. 수도권(경기 인천) 지역 아파트값은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의견이 62%로 가장 많았다. 소폭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도 18% 나왔다. 입주 물량 증가 등 공급과잉 압박이 크다는 분석이다. 지방 부동산시장에는 부정적 전망이 많았다. 소폭 하락(52%) 또는 보합(37%) 의견이 대부분이었다.지역별로는 서울 강북을 유망하다고 꼽은 응답자가 43%로 가장 많았다. 조현욱 현대건설 마케팅 부장은 “서울 강남 주요 지역에서 전용면적 59㎡ 아파트가 10억원을 웃돌 정도로 가격이 크게 오른 상황이라 투자 대비 효율을 따진다면 강북이 강남보다 낫다”고 말했다. 구명완 엠디엠플러스 대표는 “문 대통령의 도시재생 뉴딜 수혜 지역 중 하나인 강북의 정주환경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이슈로 독보적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서울 강남도 31% 지지를 받았다. 전국적으로 투자자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등으로 공급이 제한적인 강남은 당분간 ‘불패신화’를 이어갈 것으로 일부는 전망했다. 행정자치부 추가 이전 등 행정 기능을 더 강화하겠다고 밝힌 세종시도 유망 투자처로 꼽혔다.

◆‘임대사업자 등록’ 서둘러야부동산시장의 큰 변수인 세제정책도 관심이다. 노무현 정부 시절 종합부동산세를 도입한 주역인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이 주택도시 분야 컨트롤타워를 맡은 만큼 보유세 인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시대 다주택자의 부동산 재테크 전략으로 응답자의 68%는 ‘임대사업자 등록’을 꼽았다. 문 대통령은 일정 수준 이하 임대소득에는 비과세 등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공약했다. 임대인이 자발적으로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임성환 알리안츠생명보험 WM센터 부장은 “정부가 복지 증대를 약속한 만큼 세입을 늘리기 위해 과세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다주택자는 임대사업자 등록을 통해 인센티브를 받는 게 현실적인 대비책”이라고 말했다.응답자의 50%는 내집을 마련하려는 실수요자는 신규 주택 청약에 나서라고 조언했다. 기존 주택을 매입하라는 응답은 31%, 공공임대주택을 노리라는 의견은 18%였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수석위원은 “유망 지역 물량이 많아 시세차익이 예상되는 만큼 무주택자는 청약으로 승부를 걸어볼 만하다”고 말했다.

조수영/설지연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