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N은 SUN을 좋아해!…J노믹스 타고 국내 태양광 업계 '빛' 볼까
입력
수정
지면A17
2030년 74조원 시장글로벌 공급 과잉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 철회로 어려움을 겪던 국내 태양광 업계가 모처럼 기지개를 켜게 됐다. 정부가 석탄·원자력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면서다.
트럼프 집권 뒤 미국선 '찬밥신세', 새정부는 '친환경' 비중 확대
OCI 등 폴리실리콘 기업부터 중소 태양광 설치업체까지 수혜
30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에 따르면 6월1일부터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노후한 석탄화력발전소 8기의 가동이 한 달간 중단된다. 서천 1·2호기, 영동 1호기 등 3기는 7월부터 폐쇄 조치에 들어간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까지 확대 △발전사업자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RPS) 상향 조정 △소규모 신재생 설비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도입 등을 약속했다.전지와 폴리실리콘 등 태양광 관련 산업에는 호재다.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에 따르면 공약이 실현될 경우 태양광 에너지 설비용량은 현재 5GW에서 2030년 37GW까지 커진다. 현재 약 10조원 규모인 태양광 시장은 2030년까지 최대 74조원으로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내수 시장 확대는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다.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 LS산전, 에스에너지, 웅진에너지 등의 기업부터 중소 태양광 설치 업체까지 수혜를 입는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에 등록된 중소 설치 업체만 8000여 개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OCI와 보고펀드가 작년 말 1000억원 규모의 태양광 발전 펀드를 조성해 태양광 발전소를 짓기로 했다”며 “산업 육성이 이뤄질 경우 관련 펀드가 늘어나는 등 부수적인 효과도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난관도 있다. 작년 말부터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규제 개선과 금융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졌으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태양광 발전소 건립 입지 규제는 풀리지 않고 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