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빅데이터 확충하고 내실 다져야
입력
수정
지면A39
"점차 거세지는 4차 산업혁명 물결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우리 곁에 성큼 다가와 있다. 상상만 하던 일들이 현실이 되고, 수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을 것이란 분석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대응력은 매우 취약한 수준이다. 스위스 최대 은행인 UBS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수준은 조사대상 135개국 중 25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대만, 말레이시아, 체코보다도 뒤처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빅데이터 등 기본 인프라 다지고 신농업 프로젝트도 활성화해야"
이철환 < 한국무역협회 자문위원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려면 무엇보다도 기술, 교육,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기술투자는 기업이, 교육과 인프라 투자는 정부가 해야 할 과제다. 구글, 테슬라, 페이스북, 애플 등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인공지능 등 기술혁신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는 인간 뇌에 컴퓨터를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계획을 세워놨을 정도다. 우리 기업들은 이제야 기초적 투자를 타진하는 수준이다. 인공지능 알고리즘 연구는 30년 이상 투자해야 결과가 나오는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의 연구투자가 중요하다.정부의 과제인 교육과 인프라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교육 측면에서는 무엇보다 전문가 양성에 주력해야 한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인프라의 고도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는 첨단기술 인력 양성이 가능하도록 대학교육을 혁신해 나가야 한다. 문·이과 통합교과 신설, 소프트웨어(SW) 교육 필수화,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심화학습 추진 등이 필요하다. 교과과정도 과학기술 전문지식과 인문적 교양을 융합한 통섭교육으로 개편하고 교육방식도 토론 위주로 개선해야 한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사회적 변혁과 충격, 이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등 미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도 해야 한다. 법, 제도의 정비는 물론 인공지능으로 창출되는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이해증진 교육 또한 정부가 해야 할 일이다.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이해증진 교육은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 인프라 투자는 어떻게 이뤄지는 게 바람직할까. 우선, 기본 인프라인 빅데이터를 확충하고 내실 있게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양과 다양성, 입출력 속도를 동시에 획기적으로 증강시켜야 한다. 사생활 침해와 보안 측면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안도 동시에 모색돼야 한다.
친환경 개발 프로젝트도 간과할 수 없다. 세계은행은 기후변화를 방치할 경우 2050년까지 약 13억 명이 자연재해 위험에 노출되고,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배인 158조달러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상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되면 대규모 자연재해 예방이 가능해질 것이다.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환경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태양열, 풍력, 수력, 바이오에너지 등 친환경 청정에너지 개발 프로젝트도 병행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에너지시장에 12조3000억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위한 투자를 통해 파리기후협정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세먼지도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친환경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을 융합해 생산성과 사업규모를 증대하는 농업·생명공학 결합 프로젝트도 중요하다. 이 프로젝트는 일자리 창출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우리는 정보화에서 선두를 달렸지만 4차 산업혁명의 출발에서는 뒤처졌다. 아직은 초기 단계인 만큼 노력 여하에 따라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기업, 정부, 국민 모두 힘을 합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을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이철환 < 한국무역협회 자문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