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국정역사교과서 폐지가 남긴 숙제
입력
수정
지면A34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이 해체된 31일, 교육부 고위 관료를 만났다. 박근혜 정부 때 만들어진 한시 조직으로 이날 국정역사교과서의 공식 폐지와 운명을 같이했다. 소회를 물었다. “정상화란 말이 아직도 헷갈린다”는 답이 돌아왔다.
문패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추진단은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해 일했다.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 일을 한다는 의미에서 그들은 국정교과서란 말 대신 ‘올바른 교과서’로 표현하길 원했다.국정역사교과서를 폐지할 때도 추진단은 ‘정상화’ 지침을 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업무지침 2호로 국정교과서를 지목했고, 당시 청와대 발표 내용은 이랬다. “역사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국정역사교과서를 폐지하라.” 국정역사교과서를 만들 때 사용한 ‘정상화’란 단어가 이번엔 폐지의 명분으로 쓰인 것이다.
국정역사교과서 논란은 역사란 무엇인가를 되묻게 한다. 각계에서 국정화 반대 시국 선언이 잇따랐고, 또 그만큼의 국정화 옹호론자들도 등장했다. 그 덕분에 서점엔 에드워드 카 교수의 《역사란 무엇인가》란 책이 재등장해 꽤 팔리기도 했다. 1년 반 남짓한 소동 끝에 교육부는 이날 국정역사교과서 폐지를 관보에 게재함으로써 갈등은 일단락됐다. 문재인식 정상화의 첫 단추를 끼운 것이다.
일선 교육 현장에선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학교가 좌와 우 이념 갈등의 희생양이 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는 게 대다수 교사들의 심정이다. 진영별로 제 입맛대로 해석한 역사를 학교 현장에 강요하려 한다는 불만이다. 한쪽은 북한에 대한 근시안적 호의와 반(反)기업적 정서를 담고 있고, 다른 한쪽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한다는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카 교수는 역사를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했다.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역사를 배운다는 의미다. “국정역사교과서 폐지를 보수에 대한 진보 진영의 승리만으로 해석해선 안 된다”는 얘기가 역사학계에서 나오는 이유다. ‘역사는 승자의 것’이란 말이 적어도 문재인 정부 5년간만큼은 구문(舊文)이 되길 기대해본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문패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추진단은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해 일했다.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 일을 한다는 의미에서 그들은 국정교과서란 말 대신 ‘올바른 교과서’로 표현하길 원했다.국정역사교과서를 폐지할 때도 추진단은 ‘정상화’ 지침을 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업무지침 2호로 국정교과서를 지목했고, 당시 청와대 발표 내용은 이랬다. “역사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국정역사교과서를 폐지하라.” 국정역사교과서를 만들 때 사용한 ‘정상화’란 단어가 이번엔 폐지의 명분으로 쓰인 것이다.
국정역사교과서 논란은 역사란 무엇인가를 되묻게 한다. 각계에서 국정화 반대 시국 선언이 잇따랐고, 또 그만큼의 국정화 옹호론자들도 등장했다. 그 덕분에 서점엔 에드워드 카 교수의 《역사란 무엇인가》란 책이 재등장해 꽤 팔리기도 했다. 1년 반 남짓한 소동 끝에 교육부는 이날 국정역사교과서 폐지를 관보에 게재함으로써 갈등은 일단락됐다. 문재인식 정상화의 첫 단추를 끼운 것이다.
일선 교육 현장에선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학교가 좌와 우 이념 갈등의 희생양이 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는 게 대다수 교사들의 심정이다. 진영별로 제 입맛대로 해석한 역사를 학교 현장에 강요하려 한다는 불만이다. 한쪽은 북한에 대한 근시안적 호의와 반(反)기업적 정서를 담고 있고, 다른 한쪽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한다는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카 교수는 역사를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했다.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역사를 배운다는 의미다. “국정역사교과서 폐지를 보수에 대한 진보 진영의 승리만으로 해석해선 안 된다”는 얘기가 역사학계에서 나오는 이유다. ‘역사는 승자의 것’이란 말이 적어도 문재인 정부 5년간만큼은 구문(舊文)이 되길 기대해본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