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국내서 가장 주목받은 중국 관련 이슈는 '사드'

지난 10년간 국내 언론이 다룬 중국 관련 이슈 가운데 제일 비중 있게 다뤄진 사건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미디어연구센터 소속 박대민 선임연구원은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인 ‘빅카인즈’를 통해 총 42개 매체의 기사(인용문 포함 기사 기준)를 수집해 조사한 결과 중국 관련 보도 건수는 지난 10년간(2007년 1월~2017년 4월) 지속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2007년에는 42개 언론사의 중국 관련 뉴스가 5만5341건 수준이었으나 2010년 10만건을 돌파했고 2013년 15만건을 넘어섰다. 이 기간 기사 수집 매체 수가 늘어나 기사 총량이 증가(1.8배)한 측면도 있지만, 중국 관련 기사량은 더 빠르게 증가(2.8배)했다고 박 연구원은 전했다. 중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중국인 관광객(유커)이나 미세먼지 등 한국에 직접 관계되는 사안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사 기간 동안 국내 언론이 가장 비중 있게 다룬 중국 관련 보도 주제는 사드였다. 사드는 2014년까지는 전체 중요 주제어 가운데 70위 내에도 들지 못했으나 2015년 52위, 지난해 8위, 지난 4월까지는 4위로 올라섰다. 지난 1~4월 사이 사드 관련 기사 추이를 살펴 보면 중국 정부의 반대, 차기 정부(현 문재인 정부)의 대응, 한미동맹 영향, 사드 보복에 따른 기업활동 위축, 지역경제 타격 등이 두루 언급됐다. 사드 이슈에 딸린 하위 주제어 중에서는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와 관련 산업 영향을 언급하기 위한 ‘관광객’이 특히 많이 거론됐다.

2010년 천안함 위기(2위) 때는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한반도 전쟁 위기를 피하기 위해 이성적 대응을 촉구하는 멘트로 자주 등장했다. 2013년 취임하고 2014년 방한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3위) 보도도 많았다. 후진타오 전 주석, 원자바오 전 총리, 리커창 현 총리에 비해 훨씬 중요하게 다뤄졌다. “정권 교체 때문에 보도가 늘기도 했지만, 카리스마가 강한 인물이어서 언론에서 여러 논평을 내놓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박 연구원은 설명했다.4위는 위안부 이슈였다. 2014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종전 70주년 기념 담화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명시하지 않고 모호하게 말하자 중국 정부와 언론이 크게 반발했고, 2015년 헤이룽장성 기록보관서에서 한국여성을 위안부로 동원한 사실을 기록한 문건이 나온 점이 반영됐다.
5위는 2010년 무렵 위안화 절상 논란이었다. 금융위기 후 중국이 관리변동환율제를 통해 인위적으로 위안화 가치를 낮춰서 대규모 무역흑자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 정부는 미국 등의 위안화 절상 압력에 반발했다.

또 갤럭시 노트7의 폭발(2016년·6위)로 중국 시장에서 판매가 위축된 것과 2014년을 전후해 제주도에서 중국인 관광객(유커)가 급증한 것(7위)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유커 관련 보도는 긍정적인 내용 외에도 지역 경제에 과도한 영향을 주는 부정적인 면을 언급한 기사도 일부 있었다. 박 연구원은 “중국 뉴스에서 지역 기사가 차지하는 비중 자체는 크지 않지만 지역 뉴스 안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크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2015년부터 각 언론 사회면에서는 미세먼지 논란(8위)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미세먼지가 주로 중국에서 온다고 보는 시각이 강했다. 베이징 등 중국 도시의 대기오염과 서울의 대기오염을 함께 다룬 기사도 많았다. 기상청이 주요 정보원으로 등장했다.

이외에 수영선수 박태환의 중국 베이징올림픽 금메달 획득(2008년·9위), MBC 오락프로 무한도전의 중국 촬영분 방영(2015년·10위)도 지난 10년간 상위 10대 중국 뉴스에 포함됐다. 국제·정치·경제 외 영역으로도 보도 폭이 넓어진 것을 보여준다.

박 연구원은 “전체적으로 중국 뉴스는 국제·경제·정치 등 무거운 내용을 다루는 분야에서 중시됐으며, 중국 자체의 뉴스도 다루지만 한·중 관계에 간접적으로라도 중요한 내용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했다. 이어 “정치면에서 전통적으로 북핵 문제를 다양하게 보도하는 가운데 사드가 짧은 기간 동안 매우 중요하게 다뤄졌다”며 “정치면 외에 국제·경제·문화·지역·IT과학·사회 등 다방면에서 논란이 됐다”고 전했다. 반면 미세먼지는 사회면에서 기상·사회 문제로 주로 언급됐으며 다른 국제·정치·경제이슈에 비해선 화제가 덜 됐다고 분석했다.문화 부문에서는 혐한 등 부정적 요인보다 양국 간 문화 공동체 형성을 기대할 만한 토대, 예컨대 한국 연예인의 중국 내 활동 등이 중시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박 연구원은 덧붙였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