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금리' 곁눈질하는 증시…뭉칫돈 이탈 가능성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수준이 같아지면서 금융시장에 적신호가 켜졌다. 외국인의 자금 이탈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국이 연내 추가 인상을 예고,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역전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시장에서 '뭉칫돈'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 "하반기 한·미 금리 역전 가능성…대형 경기민감주 주목"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9일 "미국이 연내 1회 추가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국은 가계부채 부담에 금리를 적극 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올 하반기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주 미국 중앙은행(Fed)은 석 달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1.00~1.25%로 제시했다. 한국 기준금리(연 1.25%)와 수준이 같아진 것이다. 설상가상 Fed는 연내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Fed위원들의 연방기금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dot plot)에 따르면 올해 1차례, 내년 3차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나타낸 것이다.

김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역전될 경우 자본 유출이 발생하고 외국인의 주식 팔자(순매도)세는 가속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증시가 외국인의 수급에 의해 움직인다는 점에서 양국의 금리차이는 중요하다"며 "미국 주도의 자금 이탈이 재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역전된 경우는 과거에도 있었다. 1999년, 2005년 각각 약 2년간 양국의 금리가 뒤집혔던 것이다.

첫번째로 금리가 역전됐던 1999년 6월~2001년 2월에는 외국인의 국내 금융자산 투자가 급증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라는 특수성이 있어 현재와는 비교하기 어렵다는 게 김 연구원의 판단이다.두번째 기간인 2005년 8월~2007년 8월에는 자본 유출이 빠르게 진행됐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외국인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12조5000억원에 달하는 주식을 순매도했고 코스피는 약세 전환했다.

그는 "한미 금리가 역전될 경우 외국인 투자 비중이 높았던 고변동성 종목이 매도 대상이 될 수 있다"며 "이익 기대치가 높고 변동성이 큰 대형주 가운데 삼성전기, 하나금융지주, 한화케미칼 등 경기민감주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펀더멘털 견조…자금 이탈 가능성 크지 않아"다만 증권가에선 국내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 등이 견조해 자본 유출 우려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최원곤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성장성이 미국을 웃돌고 있기에 국내 투자매력이 높은 상황"이라며 "실제 성장성 지표가 외국인 자금 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금리가 상승해도 주가는 함께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한국과 미국은 경기 상승기에 있으며 기준금리의 상승이 시장에 급격히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김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이 자금 이탈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자본 유출은 금리 역전이라는 요인 하나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환율, 글로벌 유동성 및 불확실성, 성장률 격차 등 여러 재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국은 미국의 대체재가 아니다"며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역전된다고 해서 우리나라 국채에 투자할 자금이 회수돼 미국 국채에 투자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의 자금 유입 가능성이 오히려 높다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주식시장 특성상 금리 역전보다는 금리차를 극복할만한 경기·이익 모멘텀 유효 여부가 중요하다"며 "지난해 이후 한국에 대한 경기·이익 기대감은 미국보다 우위에 있다"고 언급했다.또 "현재 코스피시장에서 금리보다 부담이 되는 변수는 Fed의 물가전망치 하향 조정, 미국 기술주의 약세"라며 "이로 인해 리플레이션 트레이드(물가상승 대비 장기채 매도·주식 매수)가 후퇴되고 실적 경계로 코스피지수의 하락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