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USTR 대표 "중국 시장경제국 인정하면 안돼"
입력
수정
지면A13
보호무역주의자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의 시장경제국 지위(MES)를 얻는다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2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이날 미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작년 12월 중국이 WTO에 유럽연합(EU)과 미국을 상대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인정하라는 소송을 낸 것에 대해 “중국의 비시장경제국 지위에 관한 ‘나쁜 결정’이 내려진다면 이는 WTO에 대격변이 될 것”이라고 했다.FT는 이 경고가 미국 정부가 WTO 등 다자체제를 예전과 다른 방식으로 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2001년 WTO에 가입한 중국은 당시 가입 조건의 유보조항을 ‘15년 후 시장경제국 지위를 자동으로 얻는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미국과 EU 등은 시장경제국 요건을 갖춰야 지위를 주는 것이지 자동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맞서고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2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이날 미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작년 12월 중국이 WTO에 유럽연합(EU)과 미국을 상대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인정하라는 소송을 낸 것에 대해 “중국의 비시장경제국 지위에 관한 ‘나쁜 결정’이 내려진다면 이는 WTO에 대격변이 될 것”이라고 했다.FT는 이 경고가 미국 정부가 WTO 등 다자체제를 예전과 다른 방식으로 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2001년 WTO에 가입한 중국은 당시 가입 조건의 유보조항을 ‘15년 후 시장경제국 지위를 자동으로 얻는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미국과 EU 등은 시장경제국 요건을 갖춰야 지위를 주는 것이지 자동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맞서고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