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말 아닌 행동으로"…북한 도발에 '달빛정책' 속도 조절
입력
수정
지면A6
6일 독일 베를린 연설…'대북 메시지' 주목독일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베를린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에서 어떤 대북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되고 있다. 7~8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국제사회에서 한반도 평화 구상을 밝히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독일은 베를린 장벽을 허물고 통일을 이룬 나라여서 문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밝히는 곳으로 상징성이 컸다.
문 대통령, 출국 전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무력시위라고 발표하라" 지시
평화 구상에 심혈 기울였던 문 대통령 , '대북 강력 경고'로 급선회
G20 정상들과 회동서 대북 제재·압박 공조 여부 관심
지난달 30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주도권을 쥐고 남북관계를 이끌겠다고 동의를 받아낸 만큼 문 대통령의 ‘신(新)베를린 선언’에 이목이 집중됐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한반도 냉전 종식 및 평화 공존 실현, 남북경협, 이산가족 문제 해결 등 대북 구상을 구체적으로 담은 ‘베를린 선언’에 맞먹는 메시지가 나올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신베를린 선언 수정되나
하지만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로 문 대통령의 이런 구상은 차질을 빚게 됐다. 북한이 미 본토까지 타격할 수 있는 ICBM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대화와 화해 분위기로 돌아가자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등은 일제히 북한을 비판하고 나섰다.
문 대통령은 4일 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에게 한·미 연합 탄도미사일 사격 훈련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5일 출국 전 참모진에게 “오늘 하는 훈련이 북한에 대한 무력시위라는 것을 명확하게 발표하라”고 지시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께서 출국 전에 ‘이거 무력시위로 나가는 거죠’라고 한마디 하셨다”며 “대통령께서 무력시위로 보이고 싶으신 것”이라고 말했다.◆경고 메시지에 무게
문 대통령이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밝힌 만큼 쾨르버 연설 내용은 대화 대신 북한의 무력도발을 강력 규탄하고 북한에 강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데 무게가 실릴 것이란 예상이다. 문 대통령은 ‘핵 동결 후 폐기’라는 2단계 북핵 해법을 강조해 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도 어느 정도 이끌어냈다. 양국 정상은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북한과의 대화는 올바른 여건이 이뤄지면 가능하다”고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올바른 여건’과 관련, “우리가 특정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고 했지만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 ‘달빛정책’은 시작도 못하고 폐기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북한의 이번 도발로 문 대통령의 단계적 해법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략적 인내’ 전략을 펼친 오바마 행정부와 북핵 폐기를 전제로 했던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북핵 해결을 위해 사실상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게 문 대통령의 인식이다. 문 대통령이 계속해서 대화와 제재·압박의 병행을 강조해온 만큼 북한에 강력한 경고를 하는 것과 동시에 다시 한번 대화를 위한 조건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G20에서 대북 공조 이끌어낼까
독일 함부르크에서 7, 8일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도 북핵 문제가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G20 정상회의는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참석하는 다자간 정상회의다.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해 제재와 압박을 더 강조하는 분위기로 바뀌면서 문 대통령의 대북 기조도 새롭게 도전받을 수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국제적인 지지와 협력을 이끌어내야 하는 것도 문 대통령의 과제다.
정의용 실장은 “문 대통령이 세계 주요국 지도자들과 북핵 대응 공조 기반을 확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7일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4강(强) 정상과 단독 회담도 예정돼 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