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웅열의 '18년 집념' 결실…인보사, 유전자 치료제 주도권 잡는다

코오롱생명과학 '인보사' 국내 판매허가 임박

국내 첫 유전자치료제 탄생…비수술·인공관절까지 대체 가능
45조 퇴행성 관절염 시장 출격

9월 제품 출시 후 글로벌 공략
연말 미국 임상 3상·일본 임상 돌입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지난 4월 인보사 생산라인이 있는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을 방문해 ‘인보사 성인식' 토크쇼에 참여하고 있다. 이 회장이 판에 적은 ‘981103'은 인보사의 생일이자 성공 숫자를 의미한다.
이웅열 코오롱 회장의 18년에 걸친 바이오 집념이 마침내 결실을 거두게 됐다. 국내 최초 유전자 치료제인 인보사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판매 허가가 조만간 나오면 오는 9월께 출시할 예정이다. 차세대 치료제로 꼽히는 유전자 치료제 시장에서 코오롱이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 세계 9번째 유전자 치료제 내놔식약처는 10일께 인보사 판매 허가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은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유전자 치료제를 내놓는 국가가 된다. 인보사는 연골세포에 재생 유전자를 삽입해 퇴행성관절염을 고치는 치료제다.

유전자 치료제는 문제가 있는 유전자를 정상으로 고치거나 치료 효과가 있는 유전자를 환부에 투입하는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이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세계 유전자 치료제 시장 규모는 7억9400만달러다. 질병의 근본 원인을 치유한다는 점에서 부가가치가 높다. 미국 영국 중국 등이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까닭이다. 식약처도 2014년부터 2년간 코오롱생명과학에 시험 방법과 품질 관리 등을 컨설팅하며 인보사 개발을 도왔다.

업계에서는 인보사가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보사는 다른 사람의 세포를 이용해 만든 세계 최초의 동종세포 유전자 치료제여서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 나온 유전자 치료제는 세계적으로 8개다. 이들 모두 환자의 세포를 이용한 자기세포 유전자 치료제다. 반면 인보사는 환자의 세포를 매번 채취할 필요가 없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이웅열의 18년 바이오 집념

코오롱생명과학이 국내 최초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은 이웅열 회장의 집념 덕분이다. 세 자녀를 두고 있는 이 회장은 평소 “인보사는 나의 네 번째 아이”라고 말할 만큼 애착이 남달랐다. 그는 1996년 회장 취임 후 바이오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1999년 미국 메릴랜드주에 바이오기업 티슈진을 설립하고, 이듬해 한국에 코오롱생명과학(옛 티슈진아시아)을 세웠다.인보사는 손가락이 여섯 개인 다지증 환자(육손이)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었다. 다지증 환자 대부분은 여섯 번째 손가락을 절단하는데 회사는 여기서 관절·연골세포를 채취해 배양했다. 또 세포 일부에 연골세포의 분화·증식을 돕고, 염증을 억제하는 성장인자유전자(TGF-베타1)를 주입했다. 이렇게 배양한 세포를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 주사했더니 환자의 무릎 통증이 줄어들었다.

◆45조원 퇴행성치료제 시장 공략

코오롱생명과학은 9월께 인보사를 국내 시장에 내놓는 것을 시작으로 392억달러(약 45조원) 규모인 세계 퇴행성관절염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국내 판매는 정형외과 영업망을 보유한 한국먼디파마와 코오롱제약이 맡는다.코오롱생명과학 관계자는 “인보사가 기존 퇴행성관절염 치료 방법과 차별화되는 만큼 기존 치료제뿐 아니라 인공관절 시장까지 공략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인보사는 1회 주사로 2년간 약효가 유지되고 수술이 필요없다.

미국과 일본 시장 문도 두드린다. 연말께 미국 임상시험 3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임상비용 자금조달을 위해 국내 코스닥시장에 티슈진을 상장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에는 5000억원을 받고 미쓰비시다나베제약에 인보사를 기술수출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앞으로 일본에서도 임상시험을 진행할 방침이다.

■ 유전자치료제잘못된 유전자를 정상으로 바꾸거나 치료 효과가 있는 유전자를 환부에 투입해 질병을 치료하는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2014년 11월 네덜란드 바이오기업 유니큐어가 개발한 혈액장애 유전자 치료제 글리베라가 독일에서 세계 최초로 허가를 받았다. 부가가치가 높아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뿐 아니라 중국까지 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김근희 기자 tkfcka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