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도시 대구의 원동력 '생활예술축제'
입력
수정
지면A28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무대
국채보상공원서 14일 개막
170여개 팀 1100여명 참여


수성팝스오케스트라와 같은 아마추어 예술동호회의 활발한 활동이 대구를 예술도시로 바꿔놓고 있다.

2014년 권영진 시장 취임 이후 강화해 온 생활예술진흥정책이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활동 생태계를 조성해 자생적인 소규모 공연단체를 활성화한 결과다.
대구시는 260여 개 예술문화동호회에서 아마추어 예술가 3300여 명이 활동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는 2015년부터 생활예술 관련 예산을 연간 9억~13억원 편성해 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대구생활문화제는 개막공연부터 본공연, 악기체험, 아트마켓 등 부대행사를 아마추어 예술가들이 직접 기획해 운영한다. 한만수 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아마추어 예술가들의 생활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소규모 연습공간 개·보수, 지도자 교육, 생활문화 공연 전시 등을 지원하고 있다”며 “시민예술가들이 기획하고 참여하는 진정한 시민들의 축제”라고 소개했다.
대구생활문화제는 뮤지컬 오케스트라 색소폰 국악 공연으로 이뤄지는 멜로디존에 22개 팀이, 오카리나 우쿨렐레 플루트 공연을 하는 버스킹존에 21개 팀이, 밴드와 댄스 공연 등을 하는 프리존에 20개 팀 등 63개 팀이 공연한다. 대구생활문화제를 주관하는 대구문화재단 관계자는 “문학과 북아트 등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존에 7개 팀이, 도예 공예 등 핸드메이드존에 19개 팀이, 다도 예술치료 등 힐링존에 11개 팀이 참가해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가득하다”고 소개했다.
시민생활문화 동호인 150명이 펼치는 개막공연에서 두 아들과 함께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박해경 씨는 “생활문화제에 참여하기 위해 올초부터 준비해 왔다”며 “대구가 아마추어 예술가들이 연습하고 발표할 기회가 많은 예술도시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