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전문가들 "탈원전시 2030년 전기요금 3.3배 오른다"
입력
수정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탈(脫)원전 정책'에 비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원자력학계 전문가들은 전기요금 인상, 원전 산업 붕괴, 기후변화 악영향 등 각종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황일순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원전 거짓과 진실- 성급한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 토론회에 발표자로 나서 "(탈원전시) 전기 요금이 20% 정도 오른다는 게 정부 발표인데 면밀히 검토한 결과 3배 정도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인구가 특정 지역에 밀집되고 산지가 많은 국내 실정을 감안해 유사한 해외 사례를 들었다. 황 교수는 "국내 경험에 기반한 탈원전 전기료 예측은 부정확한 면이 있어 해외 사례를 살펴봤다"며 "한국과 유사한 실정의 일본 데이터도 유럽의 경험 곡선과 일치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황 교수에 따르면 한국은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연중 가동률이 16%에 그친다. 석탄 화력발전소 81%, 원전 83% 등의 가동률에 비하면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고 했다. 탈원전으로 인한 공백을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로 메우려면 필요 전력의 6배 용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전기 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신규 원전 건설 중단시 빚어질 에너지 안보 문제도 짚었다. 원전 건설 중단 후 대체 에너지 개발과 시설 건설이 지연되면 10년쯤 뒤 '전력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지난 2011년 9월15일 전력공급 부족으로 발생한 정전 사태도 언급했다.탈원전으로 인해 원전 산업이 붕괴되고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이익환 전 한전원자력연료 사장은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중단다면 건설에 참여한 103개의 원 도급사와 하청업체 참여 인력 1만2800여 명이 실직 상태에 빠질 수 있다"며 "원전 산업이 큰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원전을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로 대체하면서 파리기후협정에 따른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INDC)'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 교수는 공론화위원회가 아닌 국회가 사회적 합의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3차 합의를 진행한 바 있는 독일·스위스·스웨덴 등의 사례를 언급하며 "독일의 경우 1차 합의 때부터 국회법을 통과시키면서 원전 문제를 논의했다. 에너지 정책만큼은 사회적 합의를 위해 우리도 국회가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황일순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원전 거짓과 진실- 성급한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 토론회에 발표자로 나서 "(탈원전시) 전기 요금이 20% 정도 오른다는 게 정부 발표인데 면밀히 검토한 결과 3배 정도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인구가 특정 지역에 밀집되고 산지가 많은 국내 실정을 감안해 유사한 해외 사례를 들었다. 황 교수는 "국내 경험에 기반한 탈원전 전기료 예측은 부정확한 면이 있어 해외 사례를 살펴봤다"며 "한국과 유사한 실정의 일본 데이터도 유럽의 경험 곡선과 일치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황 교수에 따르면 한국은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연중 가동률이 16%에 그친다. 석탄 화력발전소 81%, 원전 83% 등의 가동률에 비하면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고 했다. 탈원전으로 인한 공백을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로 메우려면 필요 전력의 6배 용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전기 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신규 원전 건설 중단시 빚어질 에너지 안보 문제도 짚었다. 원전 건설 중단 후 대체 에너지 개발과 시설 건설이 지연되면 10년쯤 뒤 '전력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지난 2011년 9월15일 전력공급 부족으로 발생한 정전 사태도 언급했다.탈원전으로 인해 원전 산업이 붕괴되고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이익환 전 한전원자력연료 사장은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중단다면 건설에 참여한 103개의 원 도급사와 하청업체 참여 인력 1만2800여 명이 실직 상태에 빠질 수 있다"며 "원전 산업이 큰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원전을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로 대체하면서 파리기후협정에 따른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INDC)'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 교수는 공론화위원회가 아닌 국회가 사회적 합의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3차 합의를 진행한 바 있는 독일·스위스·스웨덴 등의 사례를 언급하며 "독일의 경우 1차 합의 때부터 국회법을 통과시키면서 원전 문제를 논의했다. 에너지 정책만큼은 사회적 합의를 위해 우리도 국회가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