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무역 경쟁 심화…성장 잠재력 높은 중국 내수 시장 공략해야"
입력
수정
한국 기업이 중국 내수 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간 기술력 격차가 축소되고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져서다.
한국은행은 16일 ‘중국 경제의 구조 변화와 시사점’을 통해 “중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로 무역·투자 관계에서 한국과 중국의 분업 구조가 약화하고 경쟁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세계 시장에서 정보기술(IT) 품목의 중국 점유율은 최근 10년간 2배(15%→30%) 가까이 상승했다. IT 이외의 품목에서도 중국 점유율이 꾸준히 올랐다. 세계 시장 1위 품목의 경우 중국이 2015년 기준 1762개로 2003년(760개)의 2배 넘는 수준으로 확대됐다. 한국이 1위를 차지한 품목 68개(2015년 기준) 가운데 중국이 17개 품목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은은 한국과 중국간 주력 산업이 겹치는 데다 중국의 기술력이 빠르게 좋아지면서 산업 기술력 격차가 축소됐다고 진단했다. 중국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고 자급률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 지출 측면에서 소득 증가를 바탕으로 소비 중심의 성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대중(對中) 소비재 수출 규모는 아직 미미하다. 한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품목 가운데 소비재는 전체의 3%에 불과하다. 부품(48%), 반제품(28%) 등이 대부분이다.한은은 “소비재와 서비스업의 현지 진출 강화 등 새로운 대중 수출·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신(新)산업·창업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업은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 정부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 중국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한국은행은 16일 ‘중국 경제의 구조 변화와 시사점’을 통해 “중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로 무역·투자 관계에서 한국과 중국의 분업 구조가 약화하고 경쟁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세계 시장에서 정보기술(IT) 품목의 중국 점유율은 최근 10년간 2배(15%→30%) 가까이 상승했다. IT 이외의 품목에서도 중국 점유율이 꾸준히 올랐다. 세계 시장 1위 품목의 경우 중국이 2015년 기준 1762개로 2003년(760개)의 2배 넘는 수준으로 확대됐다. 한국이 1위를 차지한 품목 68개(2015년 기준) 가운데 중국이 17개 품목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은은 한국과 중국간 주력 산업이 겹치는 데다 중국의 기술력이 빠르게 좋아지면서 산업 기술력 격차가 축소됐다고 진단했다. 중국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고 자급률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 지출 측면에서 소득 증가를 바탕으로 소비 중심의 성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대중(對中) 소비재 수출 규모는 아직 미미하다. 한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품목 가운데 소비재는 전체의 3%에 불과하다. 부품(48%), 반제품(28%) 등이 대부분이다.한은은 “소비재와 서비스업의 현지 진출 강화 등 새로운 대중 수출·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신(新)산업·창업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업은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 정부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 중국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