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 '전담공무원' 생긴다
입력
수정
지면A29
내달부터 '찾동' 서비스 확대다음달부터 서울 시민 누구에게나 ‘전담 공무원’이 생긴다. 전담 공무원은 복지제도 등 행정서비스 상담이나 생활민원 처리 등에 관한 ‘행정 주치의’ 역할을 한다. 서울시 복지포털(wis.seoul.go.kr)에 접속해 집 주소만 입력하면 전담 공무원 이름과 직통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복지·생활민원 '행정 주치의' 역할
공무원 1명이 1000명 담당
서울시는 18일 서울시청에서 시내 25개 자치구(424개 동) 가운데 강남구를 제외한 24개 구(342개 동)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사업을 확대하는 내용의 ‘찾동 3단계 출범식’을 열었다. 찾동 서비스 확대는 주민들이 동주민센터를 찾아가던 방식에서 공무원이 직접 주민을 찾아가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2014년 2월 국내 복지 사각지대에 경종을 울린 일명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이 서비스를 개발해 80개 동에서 2015년 7월부터 시작했다.전담 공무원 제도 도입이 찾동 3단계 사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이다. 2015년 이후 동별로 새로 배치된 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 등 2452명과 기존 동주민센터 공무원들이 전담 공무원 역할을 나눠 맡는다. 이들은 ‘우리동네 주무관’이라는 별도의 직책을 부여받고, 1인당 1~3개 통을 담당한다.
서울의 동주민센터당 평균 근무 인원은 22명이다. 내년 찾동 사업이 서울시 전역(424개 동)으로 확대되면 약 9300명 안팎의 ‘우리동네 주무관’이 활동하게 된다. 서울시 인구(993만여 명)를 감안하면 주민 약 1000명당 한 명의 전담 공무원이 생기는 셈이다. 4인 가구 기준으로는 250가구당 한 명이 된다. 김현미 서울시 동혁신팀장은 “긴급 복지를 필요로 하는 저소득층은 물론이고 일반 시민들도 공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전담 공무원을 먼저 찾으면 된다”며 “집 근처 악취 등 생활민원에서부터 자원재활용, 마을사업 아이디어 등을 소통하는 1차 민원 접점”이라고 설명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