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FROM 100] "제2 '디지털 디바이드' 올 것…대학이 은퇴자 재교육 앞장서야"

'대학 교육 개편론' 한목소리
전문가들은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노인 일자리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대학 역할론’을 강조하고 있다.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할수록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디지털 격차)가 확대될 수밖에 없는 만큼 청년층 중심의 현행 대학 교육 체계를 손질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인성 연세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인터넷·모바일 등으로 촉발된 디지털 디바이드보다 더 커진 ‘제2의 디지털 디바이드’가 올 것”이라며 “저출산으로 인해 대학 입학 예정자는 갈수록 줄 수밖에 없고 고령자는 빠르게 늘고 있어 평생 교육이라는 인식을 갖고 대학 교육 시스템을 확 뜯어고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미숙 교육개발원(KEDI) 선임연구원도 “대학 평생교육원 등이 고령자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저소득 고령자의 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와 학계가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규성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연구센터장도 “노인들의 경우 특히 4차 산업 관련 정보와 지식에 접근할 기회조차 없는 게 현실”이라며 “은퇴자를 위한 제2의 교육의 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을 대학 교육 시스템 개편을 위한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진배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을 제대로 준비해 선두 국가가 되면 오히려 과거에 없던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날 수 있다”고 말했다.예컨대 과거엔 가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해결된 집안일 등 각종 서비스가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앞으로는 신규 일자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에 일찍부터 주목한 일본과 중국 등은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을 고령화와 구직난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기고 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