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로 보답하고 싶은데…황우석 사태에 발목잡힌 박기영 본부장

황우석 전폭 지원 앞장서…본인은 논문 무임승차·연구비 수령
11년 반만에 뒤늦게 "책임 통감하며 사죄"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 논란의 핵심은 그가 세계 과학 역사상 최악의 연구부정행위 사건 중 하나인 '황우석 사태'에 깊이 연루된 인물이라는 점이다.황우석 논문조작 사건은 2005년 말과 2006년 초에 걸쳐 전모가 드러났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인간 체세포복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논문 2편을 2004년과 2005년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실제로는 데이터와 실험 결과가 위조·날조된 것이었다.

이런 사실은 MBC PD수첩 취재팀과 젊은 과학자들의 의혹 제기에 이은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진상조사로 밝혀졌다.
황우석 사태의 주요 인물 중 하나가 2004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재직한 박 본부장이다.

그는 논문조작이 드러나기 전까지 당시 황우석 전 교수가 노무현 정부로부터 파격적이고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데 큰 역할을 했고, 의혹 폭로 초기인 2005년 11월 말에는 생명윤리 위반 의혹을 반박하는 보건복지부의 발표 과정에도 관여했다.

이에 앞서 박 본부장은 1992년 순천대 교수로 임용된 후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을 지내 국정과제 입안과 추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과학기술 분야의 '실세'로 떠올랐다.그는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으로 임명된 후 황 전 교수가 2004년 낸 사이언스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으나, 진상조사 결과 연구에 기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명백히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는 사례였으나, 박 본부장은 보좌관직에서 물러났을 뿐 순천대로부터 징계를 받지 않고 교수로 복직했다.

또 1년도 되지 않은 2006년 12월에는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으로 '컴백'도 했다.이는 당시 공저자였던 서울대·한양대 교수들 전원이 학교 당국으로부터 연구부정행위나 연구비 관리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중징계와 권고사직 등 제재를 받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박 본부장은 또 2001∼2004년 황 전 교수로부터 전공과 무관한 연구과제 2개를 위탁받으면서 정부지원금 2억5천만 원을 받았으며, 2006년 초 검찰 수사에서는 최종 연구개발보고서를 제때 제출하지 않고 일부 연구비를 절차상 부적절하게 집행한 사실이 드러났다.

다만 사법처리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이런 행적 때문에 박 본부장은 7일 임명 발표 직후부터 과학기술인단체·시민단체들과 자유한국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당으로부터 거센 사퇴 압력을 받아 왔다.

정책 결정자로서 판단력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여 없이 논문 공저자로 '무임승차'를 하고 연구비 관리 문제도 일으킨 인물이 과학기술 R&D 예산 20조원을 주무르는 차관급 과기혁신본부장을 맡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비판자들의 지적이다.

과기혁신본부는 국가 R&D 사업에 대한 예산 심의·조정 권한을 행사하고 연구성과를 평가하는 과학기술 정책 집행 컨트롤타워다.

박 본부장은 11년 반이 넘도록 황우석 사태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성과 사과를 하지 않다가, 본부장에 임명된 지 사흘만인 10일에야 "청와대에서 과학기술을 총괄한 사람으로서 전적으로 책임을 통감하면서 이 자리를 빌려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또 "사이언스 논문에 공동저자로 들어간 것은 제가 신중하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때 좀 더 신중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한 점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말했다.박 본부장은 그러나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으며 일로써 보답하고 싶다"며 사퇴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solatid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