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맞아 소녀상 건립 '물결'…이제 서울에만 11곳

8·15 광복절 맞아 도봉구·금천구서 소녀상 제막식
고등학생이 건립 참여 호소하기도…일일찻집·길거리서 시민 모금
박근혜 정부의 한일위안부 합의 이후 봇물 터지듯 일어난 '평화의 소녀상' 건립 물결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서울에선 72주년 광복절인 15일 도봉구와 금천구에서 소녀상 제막식이 열린다.

올 연말에는 강서구에도 소녀상이 새로 생긴다.

11일 서울시와 각 구청에 따르면 현재 서울에는 9곳에 평화의 소녀상이 서 있다.광복절에 열리는 금천구·도봉구 소녀상 제막식 이후엔 총 11곳으로 늘어난다.

수년에 걸쳐 드문드문 건립되던 소녀상은 2015년 박근혜 정부의 '12·28 위안부 합의' 이후 불과 1년 8개월 만에 6곳에 새로 생겼다.

서울 곳곳의 소녀상은 크기도, 모양도 조금씩 다르지만 시민들, 특히 고등학생·대학생들의 자발적 모금을 통해 세워졌다는 공통점이 있다.소녀상의 시초는 2011년 12월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진 동상이다.

짧은 단발머리에 치마저고리를 입은 이 동상은 일본대사관 앞에서 1992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수요 시위' 1천 회를 기념해 건립됐다.

수요 시위를 이끌어온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시민 모금을 통해 제작했다.건립 초기엔 평화비(碑)로 불리던 동상이 '평화의 소녀상'이란 이름을 얻은 건 비석이 아닌 예술 작품으로 분류하면 법적 시비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관련 업무를 보는 종로구청 담당 부서는 '도시디자인과'고, 서울시 담당 부서 역시 '디자인정책과 공공미술관리팀'이다.

소녀상을 공공미술로 관리하는 셈이다.
첫 소녀상 건립 이후 3년 만인 2014년 12월엔 서대문구 대현문화공원에 서울시 내 두 번째 소녀상이 세워졌다.

이화여대, 연세대, 부산대 등 대학생들의 모금으로 제작됐다.

2015년 광복절엔 노원구가 마들근린공원에 '역사의 길'을 만들며 소녀상을 세웠고 10월엔 성북구 성북동 입구, 11월엔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앞에 소녀상이 들어섰다.

중구 소녀상은 이화여고 역사동아리 학생들이 건립 주체가 됐다.

학생들이 편지를 보내 건립에 참여해달라고 호소하자 1년 동안 전국 53개 고등학교 1만6천400명이 모금에 동참했다.

이화여고 학생들은 소녀상 제작에 사용하고 남은 모금액 1천500만원을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기금으로 기부하기도 했다.

한국과 중국 예술가들이 뜻을 모아 만든 성북구 소녀상은 중국의 위안부 피해 여성을 형상화한 중국인 소녀상과 나란히 앉아 있다.

소녀상 건립에 탄력이 붙은 것은 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한·일 관계의 쟁점으로 떠오르면서다.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교섭 조건으로 일본이 소녀상을 철거해달라고 요청한 것이 알려지자 소녀상 철거·이전을 감시하는 대학생들의 노숙 농성이 시작됐다.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인 2016년 한 해 동안 동작구, 강북구, 구로구에 소녀상이 새로 생겼다.

동작구와 구로구에선 광복절에 맞춰 소녀상 제막식이 열렸다.
2016년 말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철거·복구 사태를 계기로 소녀상 건립 운동은 더 크게 확산됐다.

올해는 6월에 성동구 무학여고 학생과 학부모들의 제안으로 왕십리 광장 앞에 소녀상이 세워졌다.

제막식을 앞둔 도봉구 소녀상 역시 노곡중학교, 정의여고, 덕성여대 학생과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건립을 추진했다.
조금씩 다른 모습의 소녀상도 늘어나고 있다.

시민 모금으로 건립되는 금천구 소녀상은 왼손에 번데기를 들고, 오른손엔 나비를 날리며 서 있다.

번데기는 나비가 되기 이전의 상처받은 과거를, 나비는 미래를 뜻한다고 한다.

소녀가 나비를 날리면서 과거의 상처를 떠나보내고 새로운 희망을 맞이하는 모습을 담았다.<표> 서울시 내 소녀상 위치
┌──────┬──────┬───────────────────────┐
│ 자치구 │ 설치일자 │ 설치장소 │
├──────┼──────┼───────────────────────┤
│ 종로구 │ 2011.12.14 │ 일본대사관 맞은편 인도 │
├──────┼──────┼───────────────────────┤
│ 서대문구 │ 2014.12.24 │ 서대문구 대현동 146(대현산공원) │
├──────┼──────┼───────────────────────┤
│ 노원구 │ 2015.8.15 │ 노원구 덕릉로 450(마들근린공원 역사의 길) │
├──────┼──────┼───────────────────────┤
│ 성북구 │ 2015.10.28 │성북구 동소문로 가로공원(한성대입구 6번 출구) │
├──────┼──────┼───────────────────────┤
│ 중 구 │ 2015.11.3 │ 중구 정동길 9번지(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앞) │
├──────┼──────┼───────────────────────┤
│ 동작구 │ 2016.8.15 │ 흑석역 3번 출구 앞 소공원 │
├──────┼──────┼───────────────────────┤
│ 구로구 │ 2016.8.15 │ 구로구 경인로 58길 5 │
├──────┼──────┼───────────────────────┤
│ 강북구 │ 2016.12.10 │ 강북구청 앞 디자인거리 │
├──────┼──────┼───────────────────────┤
│ 성동구 │ 2017.6.10 │ 왕십리 광장 │
├──────┼──────┼───────────────────────┤
│ 금천구 │ 2017.8.15 │ 금천구청사 광장 내 │
├──────┼──────┼───────────────────────┤
│ 도봉구 │ 2017.8.15 │ 도봉구민회관 공원 내 │
└──────┴──────┴───────────────────────┘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cho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