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상반기 은행에서 공인인증서 사라진다
입력
수정
지면A14
은행연합회, 내달 사업자 선정
블록체인 기반 '공동인증' 인증서 여러번 등록 않고 한 번만 발급받으면 돼
중개기관 없어 수수료 절감

내년 2분기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이 상용화되면 금융 소비자들은 공인인증서를 은행별로 등록하지 않고 ‘공동 본인 인증서’를 한 번만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18개 은행, 블록체인 공동 구축
은행권 블록체인 컨소시엄은 지난해 11월 은행연합회 주도로 출범했다. 당시엔 16개 은행과 금융결제원, 금융보안원 등이 참여했다. 이후 K뱅크와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2곳까지 가세했다.
블록체인은 시스템 참여자들이 거래정보를 기록, 검증, 보관하고 공인된 중개기관 없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분산형 장부 기술이다. 단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거래시스템은 누구나 제한 없이 참여하는 개방형이지만 은행권 블록체인은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들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 시스템에 해당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면 중앙서버에 거래정보를 보관하지 않고, 블록 단위로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해커 공격이나 위변조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은행들은 금융결제원 등 중개기관 없이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거래내역 검증, 관리 대가로 중개기관에 내는 수수료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공인인증서 대체할까
이렇게 구축한 은행권 블록체인 시스템은 ‘공동 인증’ 서비스에 처음 적용된다. 은행들의 고객 인증 정보를 디지털 공유 장부인 블록체인에 저장해두면 금융 소비자들은 하나의 인증서로 간편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게 된다. 현재 A은행에서 발급받은 공인인증서는 다른 은행에서 사용하려면 별도로 등록해야 해 불편하고 번거롭다.
지난 1일 은행연합회는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업자 선정 공고를 냈다. 다음달 시스템통합(SI) 사업자를 선정한 뒤 5개월간 시스템 구축사업을 거쳐 내년 2월 중순에는 공동 인증 서비스를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내년 2분기 내 일반 금융거래까지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일반 공인인증서와 달리 블록체인 기반으로 본인인증이 가능해지면 복잡한 비밀번호 없이 PIN번호나 생체인증만으로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다”며 “매년 인증서 유효기간을 연장하거나 갱신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어진다”고 설명했다.은행연합회는 당초 지난 6월께 블록체인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었지만 석 달가량 늦어졌다. 네트워크 선정 방식을 두고 금융당국과 은행권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한 탓이다.
금융당국은 개인정보 보안 문제를 거론하며 은행전용 VPN(가상사설망)을 주장하고 있지만 은행권은 향후 사업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인터넷망을 활용한 시스템 구축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맞서고 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 방식을 결정하지 못한 채 시스템 구축 사업자 선정에 나섰다.
은행권은 공동 인증을 시작으로 다양한 사업을 선보일 계획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 인증 서비스가 정착되고 나면 해외 송금, 결제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 부문에 활용할 수 있다”며 “금융회사는 거래정보 관리와 보안대책에 드는 막대한 전산비용도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일각에선 현재 은행연합회와 금융투자협회가 별도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은행, 증권 등 업권별 인증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어 범금융권 공용 인증서로 정착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