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중단 찬반 토론회 열려
입력
수정
울산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중단 쟁점토론회가 25일 울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윤종오(울산 북구)·김종훈(울산 동구) 국회의원 등이 '세계최대 원전 밀집지역, 울산시민 안전과 탈원전시대 - 다수 호기 안정성과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공동주최했다.기조발제는 신고리 5,6호기 안전성 및 다수 호기 중대사고(박종운 동국대 교수), 울산지역 원자력 시설 사고 시 주민대피 예비평가(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 소장), 에너지전환 정책과 전력수급 및 전력요금(김종달 경북대 교수), 신재생에너지 전환, 효율성과 경제성(이철용 에너지경제연구원 실장) 등 4가지 주제로 진행됐다.박 교수와 한 소장은 반경 30km 이내 380만 명에 달하는 인구 밀집지역에서 중대사고 발생 시 예상되는 피해와 방사능 확장에 따른 주민대피의 어려움 등을 설명했다.
특히, 한 소장은 부산, 대전에 이어 울산 지형과 도로를 적용한 주민대피 시뮬레이션 결과를 소개했다.그는 "현재 상황에서는 주요 도로 정체 등으로 대피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대피시간 단축을 위한 대피경로 확충과 조기경보 시스템 필요성, 옥내 대피 시스템 구축과 집단 대피시설 효용성 확인 등의 해결방안을 제안했다.
김종달 교수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따른 에너지 수급현황과 전기요금 인상에 관해 설명했다.
김 교수는 "가스발전과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으며, 전기요금의 경우 장기적으로 천천히 증가할 것"이라며 "2025년까지는 인상요인이 크지 않고,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 감소 등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부 쟁점토론에서는 한상진 울산대 교수를 좌장으로 건설중단과 계속건설 측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각 2명씩 참석해 토론했다.
건설중단 측은 박종운 교수와 김형근 울산환경운동연합 처장이, 계속건설 측은 김태룡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와 반치범 부산대학교 교수가 토론자로 나섰다.
이들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공론화 필요성과 원전 중대사고 및 안전성 평가, 탈원전시대와 전력수급 및 전기요금, 탈원전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주제로 찬반 토론했다.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young@yna.co.kr
윤종오(울산 북구)·김종훈(울산 동구) 국회의원 등이 '세계최대 원전 밀집지역, 울산시민 안전과 탈원전시대 - 다수 호기 안정성과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공동주최했다.기조발제는 신고리 5,6호기 안전성 및 다수 호기 중대사고(박종운 동국대 교수), 울산지역 원자력 시설 사고 시 주민대피 예비평가(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 소장), 에너지전환 정책과 전력수급 및 전력요금(김종달 경북대 교수), 신재생에너지 전환, 효율성과 경제성(이철용 에너지경제연구원 실장) 등 4가지 주제로 진행됐다.박 교수와 한 소장은 반경 30km 이내 380만 명에 달하는 인구 밀집지역에서 중대사고 발생 시 예상되는 피해와 방사능 확장에 따른 주민대피의 어려움 등을 설명했다.
특히, 한 소장은 부산, 대전에 이어 울산 지형과 도로를 적용한 주민대피 시뮬레이션 결과를 소개했다.그는 "현재 상황에서는 주요 도로 정체 등으로 대피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대피시간 단축을 위한 대피경로 확충과 조기경보 시스템 필요성, 옥내 대피 시스템 구축과 집단 대피시설 효용성 확인 등의 해결방안을 제안했다.
김종달 교수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따른 에너지 수급현황과 전기요금 인상에 관해 설명했다.
김 교수는 "가스발전과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으며, 전기요금의 경우 장기적으로 천천히 증가할 것"이라며 "2025년까지는 인상요인이 크지 않고,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 감소 등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부 쟁점토론에서는 한상진 울산대 교수를 좌장으로 건설중단과 계속건설 측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각 2명씩 참석해 토론했다.
건설중단 측은 박종운 교수와 김형근 울산환경운동연합 처장이, 계속건설 측은 김태룡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와 반치범 부산대학교 교수가 토론자로 나섰다.
이들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공론화 필요성과 원전 중대사고 및 안전성 평가, 탈원전시대와 전력수급 및 전기요금, 탈원전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주제로 찬반 토론했다.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yo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