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영천, 닭·계란 이어 농장주변 토양서도 DDT 검출"

농진청, 사료·농업용수에선 검출 안돼…DDT 저감화 대책 마련

닭과 계란에서 디클로로디페닐트라클로로에탄(DDT) 성분이 검출된 경북 지역 2개 산란계 농장 주변 토양에서도 DDT가 검출됐다.농촌진흥청은 경북 경산시와 영천시 농장의 토양, 농업용수, 식물체, 사료를 비롯해 반경 100m 주변 농경지를 조사한 결과 토양에서 DDT 성분이 검출됐다고 28일 밝혔다.

농업용수, 식물체, 사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농진청은 전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산시 산란계 농장의 닭 방사장에서는 DDT가 0.163㎎/㎏, 반경 100m 이내 농경지에서는 0.046∼0.539㎎/㎏ 가량 검출됐다.또 영천시 농가의 방사장에서도 0.469㎎/㎏, 반경 100m 이내 농경지에서는 0.176∼0.465㎎/㎏이 검출됐다.

두 개 농장의 닭과 달걀은 지난 23∼24일 모두 폐기됐다.

경산 농장 근처에 있는 대추·호두 과실, 콩잎 및 영천 농장 인근의 복숭아 잎에서는 DDT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농진청은 덧붙였다.농진청은 2개 농장의 토양에서 DDT가 검출됨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추가 정밀조사를 하고, 토양의 DDT 저감화 대책 및 관리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호주나 캐나다 등 외국과 달리 현재 국내에는 농경지나 가금류 사육지 등에 대한 DDT 관리 기준이 없다.
이날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도 자체 조사한 결과 경산과 영천 농장 토양시료 6점 모두에서 DDT가 검출됐다고 밝혔다.한살림 측은 이번 사태가 불거지기 전까지 경산과 영천 농장에서 달걀을 받아왔다.

한살림측은 흙뿐만 아니라 왕겨, 볏짚, 물, 사료 등을 수집해 역학조사를 벌였으나 흙 외에서는 DDT가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DDT가 남은 흙을 닭이 체내로 흡수해 달걀로 옮긴 것으로 추정했다.

DDT는 과거 농경지에서 살충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됐지만 1970년대 생산 및 판매가 전면 중단됐다.

하지만 DDT 성분이 토양에서 10분의 1로 감소하려면 대략 50년이 소요되며, 분해되면서 'DDD', 'DDE'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진청은 2015년부터 전국 농경지를 대상으로 잔류농약 분석을 하고 있지만 2015∼2016년에는 시설재배지(227점), 논(182점), 밭 토양(185점), 농작물(294점)에서 DDT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올해는 과수원 토양(245점)에 대해서도 조사 분석 중이며, 올해 말 분석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서울·경산·영천연합뉴스) 손대성 정빛나 기자 sds12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