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발목잡는 J노믹스, 투자대안은?…"IT·소재 담아야"
입력
수정
"정부 정책이 증시 상승을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정보기술(IT) 업종과 소재업종 등을 위주로 투자 전략을 짜야 합니다."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5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J노믹스 마음속의 기어 바꾸기'란 주제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윤 본부장은 최근의 주가 조정의 원인으로 북핵 위험과 정부 정책을 꼽았다. 실적 등을 기반으로 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은 좋은 편이지만 북핵 위험과 정부 정책으로 국내 증시가 오르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정부 정책이 근본적인 주가 하락의 원인이라는 판단이다. 윤 본부장은 "북핵 문제의 경우 군사적 충돌이 이뤄지지 않는 이상 지나가는 문제일 뿐"이라며 "옳다 그르다는 가치판단을 떠나서 주식투자 시각에서 정부 정책을 보면 J노믹스의 단기영향은 증시에 부정적"이라고 했다.
윤 본부장은 현재 정부 정책이 중소기업 이하 집단에 우호적인 만큼 중견기업들의 주가가 타격을 입었다고 봤다. 그는 "정부 출범 이후 중견기업인 SPC, 삼진 등의 주식이 하락했다"며 "닭고기 가격공시 등의 정책이 나오면서 내수비중이 높고, 정책 노출도가 높은 기업들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고 말했다.기업의 배당성향을 늘려줄 정책이 나온다는 시장의 기대와 정반대의 정책이 발표된 것 역시 증시에 부정적이었다고 분석했다. 정부가 내놓은 투자·상생 협력 촉진 세제에 따르면 배당은 환류 대상에서 제외됐다.
배당유인 축소로 국내 기업 배당성향 증가세가 둔화하고, 증시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판단이다.
정부 정책이 증시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관련 이를 활용한 투자전략을 펴야 한다는 조언이다. 윤 본부장은 "펀더멘털에는 문제가 없는 만큼 북핵 문제가 터졌을 때를 매수기회로 삼고, 정부 정책을 업종 선별요인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국내 정책 노출도가 낮고, 소비보다는 세계 투자 사이클에 연동되는 업종을 골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IT, 바이오, 철강, 화학 등 소재업종을 투자 대안으로 제시했다.
윤 본부장은 "선진국 투자 흐름을 살펴보면 최근 IT와 바이오 부분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며 "국내에도 연동되는 만큼 삼성전자, 셀트리온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흥국 투자 흐름에 따르면 소재업종이 강세를 보인다. 그는 "신흥시장에서 경기 지표들이 좋아지면서 소재업종들이 상승하고 있다"며 "개별 기업을 살피고, 철강, 화학 등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김근희 한경닷컴 기자 tkfcka7@hankyung.com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5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J노믹스 마음속의 기어 바꾸기'란 주제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윤 본부장은 최근의 주가 조정의 원인으로 북핵 위험과 정부 정책을 꼽았다. 실적 등을 기반으로 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은 좋은 편이지만 북핵 위험과 정부 정책으로 국내 증시가 오르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정부 정책이 근본적인 주가 하락의 원인이라는 판단이다. 윤 본부장은 "북핵 문제의 경우 군사적 충돌이 이뤄지지 않는 이상 지나가는 문제일 뿐"이라며 "옳다 그르다는 가치판단을 떠나서 주식투자 시각에서 정부 정책을 보면 J노믹스의 단기영향은 증시에 부정적"이라고 했다.
윤 본부장은 현재 정부 정책이 중소기업 이하 집단에 우호적인 만큼 중견기업들의 주가가 타격을 입었다고 봤다. 그는 "정부 출범 이후 중견기업인 SPC, 삼진 등의 주식이 하락했다"며 "닭고기 가격공시 등의 정책이 나오면서 내수비중이 높고, 정책 노출도가 높은 기업들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고 말했다.기업의 배당성향을 늘려줄 정책이 나온다는 시장의 기대와 정반대의 정책이 발표된 것 역시 증시에 부정적이었다고 분석했다. 정부가 내놓은 투자·상생 협력 촉진 세제에 따르면 배당은 환류 대상에서 제외됐다.
배당유인 축소로 국내 기업 배당성향 증가세가 둔화하고, 증시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판단이다.
정부 정책이 증시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관련 이를 활용한 투자전략을 펴야 한다는 조언이다. 윤 본부장은 "펀더멘털에는 문제가 없는 만큼 북핵 문제가 터졌을 때를 매수기회로 삼고, 정부 정책을 업종 선별요인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국내 정책 노출도가 낮고, 소비보다는 세계 투자 사이클에 연동되는 업종을 골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IT, 바이오, 철강, 화학 등 소재업종을 투자 대안으로 제시했다.
윤 본부장은 "선진국 투자 흐름을 살펴보면 최근 IT와 바이오 부분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며 "국내에도 연동되는 만큼 삼성전자, 셀트리온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흥국 투자 흐름에 따르면 소재업종이 강세를 보인다. 그는 "신흥시장에서 경기 지표들이 좋아지면서 소재업종들이 상승하고 있다"며 "개별 기업을 살피고, 철강, 화학 등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김근희 한경닷컴 기자 tkfcka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