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사드 잔여발사대 배치에 中 격한 반발…양국관계 험로 예고
입력
수정
中 추가보복 예상…주중 한국기업들 "더 벼린 칼날 들이댈 듯"한국 정부가 7일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기지에 발사대 4대를 비롯한 잔여장비를 반입키로 했다고 6일 공개하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사드 잔여 발사대 배치 계획을 철회하라고 고강도로 압박해온 중국은 '올 것이 왔다'는 기색을 보이며, 구체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선봉에 나서 사드 반대를 외쳐온 중국으로선 '강수'를 둘 것으로 보이며, 그로 인해 한중관계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한중 관계가 더 악화하면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도발과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에서 양국간 공조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올들어 수개월째 지속된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고전 중인 롯데그룹과 현대자동차 등 한국 기업들의 시름도 더 깊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 정부가 외교부와 국방부 채널을 통해 강한 톤으로 사드 배치를 비난한 데서도 강경 대응 분위기가 감지된다.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엄중한 우려를 표명한다"면서 "중국 측은 한미가 중국 등 지역 국가의 안전 이익과 우려를 존중해 즉각 유관 배치 과정을 중단하고 유관 설비를 철수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런궈창(任國强) 국방부 대변인도 최근 중국군이 필요한 조처를 할 것이며 국가안전과 지역 평화, 안정을 보위할 것이라고 대놓고 위협하는 발언을 날린 바 있다.
한국의 잔여 사드 발사대 배치 강행 계획을 예상한 중국은 근래 냉랭한 입장을 취해왔다.
이처럼 사드로 틀어진 한중 관계는 북한의 6차 핵실험 후 한중 양국 정상 간 통화가 불발된데서도 엿볼 수 있다.문재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해 주요국 정상들과 릴레이 전화통화로 북핵 해법을 논의했으나, 시 주석이 의도적으로 통화를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4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의 북한 핵실험 전화통화 내용을 비공개 할 정도로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베이징 소식통은 "북한의 6차 핵실험 당시 시 주석이 브릭스 회의 중이었고 문 대통령은 이후 러시아를 방문하는 등 일정이 서로 맞지 않은 면도 있으나 최근 분위기를 볼 때 중국 측이 피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에서 북핵실험이 보도통제되는 반면 사드에 대해 지속해서 비난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중국 당국이 북한과 한국을 보는 단적인 시각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런 외교적 난관 이외에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추가 보복을 당할 수 있어 더 우려스럽다.
중국은 지난해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결정 발표가 나온 직후부터 한국 영화와 드라마 등의 방영을 제한한 데 이어 한국기업에 대한 세무조사와 영업 정지, 그리고 중국인들의 한국 단체관광 중단 등 보복을 한 상태이고 지금까지도 완화된 것이 없다.
롯데의 경우 사드 보복으로 중국 내 롯데마트의 영업 정지가 6개월째 풀리지 않은 가운데 롯데마트의 일부 발전기가 에너지 과다 사용을 이유로 몰수당해 최근 경매 처분까지 받았다.
중국 현지 합작사인 베이징현대차도 사드 보복으로 판매량이 반 토막이 난 상태이고 부품 대금을 주지 못해 현지 공장들의 가동중단이 이어지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들의 한국 단체 방문이 막히면서 올해 상반기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60% 이상 줄었다.
여기에 중국 정부는 사드 배치가 완료되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말한 터여서 주중 한국 기업을 상대로 한 추가 세무조사·소방 점검 등을 통한 영업방해와 동시에 주중 교민 검열 강화·한국 상품 불매 운동을 부추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한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한중 관계가 완화될 것 같은 기대가 있었으나 사드 문제가 다시 불거지면서 예전보다 더욱 냉랭해진 상황"이라면서 "중국 당국이 다시 한국 업체들을 대상으로 칼날을 들이밀 수 있어 각별히 조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president21@yna.co.kr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선봉에 나서 사드 반대를 외쳐온 중국으로선 '강수'를 둘 것으로 보이며, 그로 인해 한중관계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한중 관계가 더 악화하면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도발과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에서 양국간 공조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올들어 수개월째 지속된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고전 중인 롯데그룹과 현대자동차 등 한국 기업들의 시름도 더 깊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 정부가 외교부와 국방부 채널을 통해 강한 톤으로 사드 배치를 비난한 데서도 강경 대응 분위기가 감지된다.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엄중한 우려를 표명한다"면서 "중국 측은 한미가 중국 등 지역 국가의 안전 이익과 우려를 존중해 즉각 유관 배치 과정을 중단하고 유관 설비를 철수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런궈창(任國强) 국방부 대변인도 최근 중국군이 필요한 조처를 할 것이며 국가안전과 지역 평화, 안정을 보위할 것이라고 대놓고 위협하는 발언을 날린 바 있다.
한국의 잔여 사드 발사대 배치 강행 계획을 예상한 중국은 근래 냉랭한 입장을 취해왔다.
이처럼 사드로 틀어진 한중 관계는 북한의 6차 핵실험 후 한중 양국 정상 간 통화가 불발된데서도 엿볼 수 있다.문재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해 주요국 정상들과 릴레이 전화통화로 북핵 해법을 논의했으나, 시 주석이 의도적으로 통화를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4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의 북한 핵실험 전화통화 내용을 비공개 할 정도로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베이징 소식통은 "북한의 6차 핵실험 당시 시 주석이 브릭스 회의 중이었고 문 대통령은 이후 러시아를 방문하는 등 일정이 서로 맞지 않은 면도 있으나 최근 분위기를 볼 때 중국 측이 피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에서 북핵실험이 보도통제되는 반면 사드에 대해 지속해서 비난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중국 당국이 북한과 한국을 보는 단적인 시각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런 외교적 난관 이외에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추가 보복을 당할 수 있어 더 우려스럽다.
중국은 지난해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결정 발표가 나온 직후부터 한국 영화와 드라마 등의 방영을 제한한 데 이어 한국기업에 대한 세무조사와 영업 정지, 그리고 중국인들의 한국 단체관광 중단 등 보복을 한 상태이고 지금까지도 완화된 것이 없다.
롯데의 경우 사드 보복으로 중국 내 롯데마트의 영업 정지가 6개월째 풀리지 않은 가운데 롯데마트의 일부 발전기가 에너지 과다 사용을 이유로 몰수당해 최근 경매 처분까지 받았다.
중국 현지 합작사인 베이징현대차도 사드 보복으로 판매량이 반 토막이 난 상태이고 부품 대금을 주지 못해 현지 공장들의 가동중단이 이어지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들의 한국 단체 방문이 막히면서 올해 상반기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60% 이상 줄었다.
여기에 중국 정부는 사드 배치가 완료되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말한 터여서 주중 한국 기업을 상대로 한 추가 세무조사·소방 점검 등을 통한 영업방해와 동시에 주중 교민 검열 강화·한국 상품 불매 운동을 부추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한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한중 관계가 완화될 것 같은 기대가 있었으나 사드 문제가 다시 불거지면서 예전보다 더욱 냉랭해진 상황"이라면서 "중국 당국이 다시 한국 업체들을 대상으로 칼날을 들이밀 수 있어 각별히 조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president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