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아진 임금상승률이 금리인상 제약"
입력
수정
지면A10
한은, 생산성 둔화·고령화로 실업률 내려도 임금 안 올라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둔화와 고령화 등으로 낮아진 임금상승률이 주요국 기준금리 인상을 제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통화정책 결정 때 혼선 초래
한국은행은 10일 해외 경제 보고서를 통해 “최근 경기 개선으로 주요국 실업률이 크게 낮아졌지만 임금은 오르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도 글로벌 금융위기 전(2001~2007년)과 후(2014~2016년)의 평균 임금상승률을 살펴보면 7.3%에서 3.4%로 떨어졌다. 미국(3.2%→2.3%),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2.9%→1.5%)보다 하락 폭이 컸다. 일본은 같은 기간 -0.4%에서 0.6%로 올랐다. 올 들어 미국과 유로존, 일본 등 선진국의 실질 임금상승률은 0% 안팎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1~2013년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한은은 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기대 약화, 고령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투자 위축과 세계 교역 둔화 등으로 노동생산성이 떨어졌다. 기업들은 각종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줄이고 있다. 이 때문에 기술 혁신도 더뎌졌다. 세계적으로 저(低)물가가 이어지면서 인플레이션 기대도 크지 않다. 여기에 고령화 영향도 있다. 저임금·고령층 취업자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체 임금 상승을 어렵게 하고 있다. 미국에서 2013~2016년 고령화로 인한 임금상승률 하락 폭은 연평균 0.13%포인트로 추정됐다.
최기산 한은 미국·유럽경제팀 과장은 “세계 경기가 꾸준히 개선되면 기대 인플레이션은 오르겠지만 노동생산성 저하 등 다른 구조적 요인은 여전하다”며 “경기 회복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딘 임금 상승은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변경 검토 때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