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85㎡ 중소형 아파트의 위기… 공급 과잉 우려
입력
수정
60∼85㎡ 규모의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급 과잉은 물론 소형주택의 규모를 낮추려는 정부 정책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이다.12일 리얼티뱅크 부동산연구소가 분석한 자료를 보면 전국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 가운데 60∼85㎡ 규모의 중소형 아파트 물량은 2012년 47.3%에서 올해 63.6%로 증가했다.
내년에는 68.7%에 달할 것으로 보여 중소형 아파트의 공급 과잉이 우려된다.
실제 미분양 상황을 보면 전체 미분양 물량에서 60∼85㎡ 규모의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 7월 41.3%에서 올해 7월에는 73.9%로 증가했다.공급 과잉 우려 탓에 올해 들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중형 아파트보다 낮았다.
올해 중소형 아파트의 매매가격 상승률은 0.75%로, 1.07%의 상승률을 기록한 85∼102㎡의 중형 아파트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매력을 감소시키는 데는 정책적인 요인도 있다.전세금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면제 기준인 소형주택의 기준이 이전에는 시가 3억원 미만의 85㎡ 이하였지만 지난해 말 정부가 간주임대료를 유예하면서 그 기준을 60㎡ 이하로 변경했다.
또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때 최초 분양받은 물건에 대한 취득세 감면 혜택도 전용면적 60㎡ 이하일 때만 적용된다.
정책 금융이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소형주택의 규모가 85㎡ 이하에서 60㎡ 이하로 낮아지는 추세라는 것이다.심형석 리얼티뱅크 부동산연구소장은 "모든 단지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소득 수준이 높고 중형 아파트의 공급이 감소한 지역에서는 60∼85㎡ 규모 아파트의 인기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투자에 주의를 당부했다.
그는 "규제지역에 대한 다주택자 중과제도가 시행되는 내년부터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를 가지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대형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pcs@yna.co.kr
공급 과잉은 물론 소형주택의 규모를 낮추려는 정부 정책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이다.12일 리얼티뱅크 부동산연구소가 분석한 자료를 보면 전국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 가운데 60∼85㎡ 규모의 중소형 아파트 물량은 2012년 47.3%에서 올해 63.6%로 증가했다.
내년에는 68.7%에 달할 것으로 보여 중소형 아파트의 공급 과잉이 우려된다.
실제 미분양 상황을 보면 전체 미분양 물량에서 60∼85㎡ 규모의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 7월 41.3%에서 올해 7월에는 73.9%로 증가했다.공급 과잉 우려 탓에 올해 들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중형 아파트보다 낮았다.
올해 중소형 아파트의 매매가격 상승률은 0.75%로, 1.07%의 상승률을 기록한 85∼102㎡의 중형 아파트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매력을 감소시키는 데는 정책적인 요인도 있다.전세금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면제 기준인 소형주택의 기준이 이전에는 시가 3억원 미만의 85㎡ 이하였지만 지난해 말 정부가 간주임대료를 유예하면서 그 기준을 60㎡ 이하로 변경했다.
또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때 최초 분양받은 물건에 대한 취득세 감면 혜택도 전용면적 60㎡ 이하일 때만 적용된다.
정책 금융이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소형주택의 규모가 85㎡ 이하에서 60㎡ 이하로 낮아지는 추세라는 것이다.심형석 리얼티뱅크 부동산연구소장은 "모든 단지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소득 수준이 높고 중형 아파트의 공급이 감소한 지역에서는 60∼85㎡ 규모 아파트의 인기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투자에 주의를 당부했다.
그는 "규제지역에 대한 다주택자 중과제도가 시행되는 내년부터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를 가지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대형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pc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