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판로정책 첫 디딤돌은 공동브랜드…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입력
수정
지면B5
중소기업 신성장전략 공동브랜드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사진)은 국내외 소비자가 우리 중소기업 제품을 신뢰하고 구매하도록 만드는 방법 중 하나가 강력한 ‘공동브랜드’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명브랜드 제품이라면 소비자는 동일한 제품이라도 더 선호하고, 설사 가격이 비싸더라도 기꺼이 지급할 의사가 있기 때문이다. 박 회장은 “정부의 중소기업정책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하청생산 기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이름을 달고 세계시장에서 당당하게 경쟁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중소기업이 스스로 기업 브랜드를 키우기 어려운 현실에서 정부가 공동브랜드 육성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터뷰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공동브랜드 운영하는 주체는 역량·규모 커야 성공확률 높아
민관 협력 통해 시너지 극대화
정책지원은 선택과 확대 필요
▶공동브랜드 육성은 중소기업에 어떤 의미입니까.“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데 ‘브랜드’는 필수 조건입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10곳 중 8곳은 브랜드가 알려지지 않아 영업활동에 제약이나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인력과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막대한 마케팅 비용과 전문 인력이 필요한 브랜드 육성은 ‘그림의 떡’에 불과합니다.”
▶국내 중소기업 공동브랜드 제도는 어떻습니까.
“정부는 공동브랜드 개발과 홍보 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동브랜드를 운영하는 대표나 단체의 역량 부족으로 브랜드 육성에 어려움을 겪는 게 현실입니다. 2015년 말 기준 국내 공동브랜드는 1만2000개가 넘지만 잘 알려진 공동브랜드는 손으로 꼽을 정도입니다.”▶중소기업중앙회가 공동브랜드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국내 상당수 중소기업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수직계열화를 통해 성장한 탓에 B2B(기업 간 거래)시장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은 우수한 기술이나 품질 경쟁력을 갖추고도 납품단가는 매우 낮습니다. 이 때문에 채산성 하락, 고객인지도 구축 실패, 구매자의 잦은 이탈을 경험하며 성장에 한계를 느낍니다. 수출시장에선 중국 등 신흥국과의 기술 격차가 줄면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급속도로 뒤처지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공동브랜드를 지원해 중소기업의 자생 기반을 마련하고 스스로 다양한 판로를 확보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성공적인 공동브랜드를 만들기 위한 요건은 무엇입니까.“공동브랜드 운영주체는 사업 추진 역량과 규모가 있어야 합니다. 그동안 대다수 공동브랜드는 운영주체의 영세성으로 홍보비 투자, 판로 확보 등에 한계를 보였고 운영주체의 전문지식과 경영능력 부족으로 운영상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시장을 잘 알고 역량 있는 운영주체가 있어야 브랜드 사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고 봅니다.”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중소기업 공동브랜드 사업이 포함돼 있습니다.
“브랜드가 지닌 중요성에 비해 중소기업의 브랜드 육성이 쉽지 않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합니다. 새 정부는 중소기업 공동브랜드 개발을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고 내년도 신규사업 예산도 반영했습니다. 아주 바람직한 일입니다.”▶정부가 어떤 지원을 해야 할까요.
“공동브랜드 육성 정책 지원의 선택과 확대가 필요합니다. 그동안 정부는 기업 간 형평성 문제로 공동브랜드를 민간 영역으로만 간주하고 일부 자금을 지원하는 소극적인 정책을 시행해왔습니다. 그러나 공동브랜드는 중소기업의 국내외 판로 확대와 해외 브랜드 사용료 지급 축소 등 많은 정책적 효과를 가져옵니다. 국가 경제에 이익이 되는 공동브랜드 사업을 적극 지원해야 합니다. 공동브랜드 참가기업과 운영주체, 정부가 힘을 합쳐 노력할 때 브랜드의 파급효과를 더 키울 수 있다고 봅니다.”
▶중기중앙회에 대한 중소기업의 기대도 클 것 같습니다.“한국처럼 천연자원이 없고 국토 면적이 좁은 스위스는 국가적으로 자국산 제품의 품질과 우수성을 강조하기 위해 ‘스위스 레이블’ 브랜드를 만들었습니다. 이후 ‘스위스 레이블’은 정부의 육성 의지로 엄격히 관리되면서 시계, 초콜릿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세계인의 신뢰를 얻은 한국의 공동브랜드가 탄생하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