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통화서 '대북인도지원' 언급 없어… 실무선 조율한듯
입력
수정
한미 양국이 정상통화 브리핑 문안 사전조율…'이견 노출' 차단 관측
트럼프 요청으로 통화 성사…유엔 총회 앞두고 대북 '압박공조' 강화
"한·미 정상 신뢰 쌓여…상대방 의견 묻는 수준까지 관계 발전"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이에 17일 이뤄진 한·미 정상통화에서 최근 논란이 된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지원 계획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현재 대북압박 공조 흐름과는 거리가 있는 민감한 현안을 놓고 이견을 노출하거나 혼선이 있는 것처럼 비쳐지지 않도록 정상간에 말을 아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통화가 끝나고 이어진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의 브리핑에는 대북 인도지원 계획과 관련한 내용이 없었다.
이틀 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대북 인도지원 시기에 이의를 제기한 만큼 브리핑에서 이 사안과 관련한 대화가 없었다고 하자 기자들 사이에서는 의외라는 반응이 나왔다.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북 인도지원 얘기를 하지 않은 건 실무선에서 조율됐기 때문인가'라는 물음에 "그런 면도 있다고 봐야 한다"며 "통화하기 전에도 의제를 조율한다"고 대답했다.
이 관계자는 "오늘 양 정상의 통화는 대변인이 발표한 브리핑 외에 더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 "발표문 역시 한·양국이 조율해서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사전에 실무 수준에서 의견 교환과 조율이 마무리되고 정상간 논의에서는 이를 공식 거론하지 않기로 합의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특히 양 정상 간 통화가 끝난 후 언론 브리핑 내용을 한·미가 문안까지 조율한 것은 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실무 차원에서는 미묘하게 차이가 있어 보이는 부분들이 혼선처럼 보이는 경향들이 있어서 양국이 입장을 조율해 발표하는 게 맞다는 판단에 따라 그렇게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배경에는 이번 주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했을 때 열릴 한·미·일 정상회동이나 현재 추진 중인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굳이 미묘한 이슈와 관련해 의견 차이를 드러낼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주목할 대목은 이번 통화가 미국 측의 요청으로 성사된 점이다.
이날까지 양 정상이 했던 다섯 번의 통화 중 트럼프가 먼제 제안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청와대 주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전화를 걸어 아베 일본 총리와 마찬가지로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지원 시기에 우려를 표하고자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이 문제를 놓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마치 엇박자를 빚는 듯한 모양새를 비칠 경우 대북 제재·압박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한·미의 노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데 양국이 문제의식을 느꼈을 가능성이 컸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미국 측의 문제제기에 대해 실무자 선에서 '대북 인도지원 시기는 제반 상황을 고려해 판단할 것'이라는 우리 정부의 의도를 충분히 설명하고 양국 정상은 이를 굳이 직접 언급하지 않기로 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이런 점을 의식한 듯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통화에서 더욱 긴밀한 협의를 약속했다고 전하는 등 한·미 정상 간 공조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청와대 관계자는 "오늘 통화에서 두 분의 대화량이 서로 비슷했다"면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에 신뢰가 쌓이다 보니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수준으로까지 (관계가) 발전한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kjpark@yna.co.kr
트럼프 요청으로 통화 성사…유엔 총회 앞두고 대북 '압박공조' 강화
"한·미 정상 신뢰 쌓여…상대방 의견 묻는 수준까지 관계 발전"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이에 17일 이뤄진 한·미 정상통화에서 최근 논란이 된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지원 계획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현재 대북압박 공조 흐름과는 거리가 있는 민감한 현안을 놓고 이견을 노출하거나 혼선이 있는 것처럼 비쳐지지 않도록 정상간에 말을 아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통화가 끝나고 이어진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의 브리핑에는 대북 인도지원 계획과 관련한 내용이 없었다.
이틀 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대북 인도지원 시기에 이의를 제기한 만큼 브리핑에서 이 사안과 관련한 대화가 없었다고 하자 기자들 사이에서는 의외라는 반응이 나왔다.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북 인도지원 얘기를 하지 않은 건 실무선에서 조율됐기 때문인가'라는 물음에 "그런 면도 있다고 봐야 한다"며 "통화하기 전에도 의제를 조율한다"고 대답했다.
이 관계자는 "오늘 양 정상의 통화는 대변인이 발표한 브리핑 외에 더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 "발표문 역시 한·양국이 조율해서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사전에 실무 수준에서 의견 교환과 조율이 마무리되고 정상간 논의에서는 이를 공식 거론하지 않기로 합의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특히 양 정상 간 통화가 끝난 후 언론 브리핑 내용을 한·미가 문안까지 조율한 것은 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실무 차원에서는 미묘하게 차이가 있어 보이는 부분들이 혼선처럼 보이는 경향들이 있어서 양국이 입장을 조율해 발표하는 게 맞다는 판단에 따라 그렇게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배경에는 이번 주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했을 때 열릴 한·미·일 정상회동이나 현재 추진 중인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굳이 미묘한 이슈와 관련해 의견 차이를 드러낼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주목할 대목은 이번 통화가 미국 측의 요청으로 성사된 점이다.
이날까지 양 정상이 했던 다섯 번의 통화 중 트럼프가 먼제 제안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청와대 주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전화를 걸어 아베 일본 총리와 마찬가지로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지원 시기에 우려를 표하고자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이 문제를 놓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마치 엇박자를 빚는 듯한 모양새를 비칠 경우 대북 제재·압박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한·미의 노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데 양국이 문제의식을 느꼈을 가능성이 컸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미국 측의 문제제기에 대해 실무자 선에서 '대북 인도지원 시기는 제반 상황을 고려해 판단할 것'이라는 우리 정부의 의도를 충분히 설명하고 양국 정상은 이를 굳이 직접 언급하지 않기로 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이런 점을 의식한 듯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통화에서 더욱 긴밀한 협의를 약속했다고 전하는 등 한·미 정상 간 공조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청와대 관계자는 "오늘 통화에서 두 분의 대화량이 서로 비슷했다"면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에 신뢰가 쌓이다 보니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수준으로까지 (관계가) 발전한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kj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