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첨단무기 보강"… 트럼프 "동맹강화 차원서 협조"
입력
수정
지면A8
미국 요청으로 한·미 정상 통화
한·미, 통화 뒤 발표 내용 조율
"800만달러 대북지원 언급 없었다"
21일 한·미·일 정상회담
대북제재 공조 등 논의할 듯


한·미 양국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제안으로 이번 통화가 끝난 뒤 발표문 내용을 세밀하게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정상 간 통화 뒤 발표 내용이 미묘하게 달라 혼선이 있는 것처럼 비쳐진 점을 의식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통화에서는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 등과 관련된 대화도 오간 것으로 전해졌지만 내용이 공개되지는 않았다. 한국 정부의 800만달러 규모 대북 인도적 지원 검토나 미국의 대북 군사적 옵션 검토, 전술핵 재배치 등에 대한 대화는 없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18일 출국한다. 한·미 정상은 오는 21일 뉴욕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함께 오찬을 겸한 3자 간 정상회담을 하기로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 불참하는 가운데 한·미·일 대북 공조를 더욱 강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란 관측이다. 한·미·일 정상회담 외 미국과의 양자 간 정상회담은 조율 중이라고 청와대 측은 밝혔다.문 대통령은 21일에는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국제사회가 단합된 행동을 보여줄 것을 적극 요청하는 메시지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