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경제효과 극대화 위해 정부가 경기장 사후관리 지원을"

동계올림픽 경제협력포럼

활용방안 다각적 고려
관련법 개정 적극 나서야
육동한 강원연구원장이 20일 강원 강릉시 리카이샌드파인리조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경제협력포럼’에 참석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강원도청 제공
“평창동계올림픽 개최가 동계스포츠산업 활성화로 이어지려면 정부가 올림픽 유산 조성과 사후 관리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합니다.”

육동한 강원연구원장(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은 20일 강원 강릉시 리카이샌드파인리조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경제협력포럼’에서 “정부가 동계올림픽 경기장 사후 유지관리 지원을 맡을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과 동계올림픽특별법 등을 개정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포럼은 내년 열리는 평창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와 사후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강원도를 비롯해 일본 나가노현과 삿포로시, 중국 베이징시와 허베이성, 러시아 소치시 등 4개국 2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했다.

평창올림픽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국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스포츠 행사다. 13개 경기장을 짓는 데만 1조350억원이 투입됐다. 원주~강릉 간 복선전철과 진입도로 조성 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도 약 11조원이 들어갔다.

하지만 사후 활용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자칫 ‘빚잔치’로 끝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현재까지 사후관리 주체가 확정된 경기장은 컬링과 스노보드 등 4곳에 불과하다.육 원장은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서울올림픽 기념 국민체육공단’의 명칭을 ‘올림픽 기념 국민체육공단’으로 바꾸고 공단에 평창올림픽 경기장 관리운영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정모 한국경제학회장(강원대 교수)도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성격과 파급효과를 고려할 때 정부가 사후 관리에 적극 관여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선 앞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일본과 러시아 관계자들이 참석해 성공적인 사후 활용방안 등을 제언했다. 1998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일본 나가노현의 오오타 유타카 부지사는 “개·폐막식장은 야구 경기장,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동계 아이스링크와 다목적홀, 크로스컨트리 경기장은 롤러스키와 마운틴바이크 경기시설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올림픽으로 인지도가 크게 개선되면서 18년간 관광객이 20배 늘었고,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등 각종 국제대회를 유치하는 성과도 올렸다”고 설명했다.2012년 소치동계올림픽을 치른 러시아 소치시의 마르키나 예카테리나 개발국 기획부 차장은 “관광객이 2014년 560만 명에서 지난해 650만 명으로 급증했고 세계 합창대회를 개최하는 등 올림픽 인프라를 활용해 문화 중심도시로 변모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동북아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이어 2020 도쿄하계올림픽,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이 연달아 열린다”며 “세 번의 올림픽을 기회로 ‘올림픽 로드’를 구축해 동북아 국가 간 스포츠·관광·문화·경제교류와 협력이 활발히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