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증가에 간편식품 '쑥쑥'… 저출산에 분유생산↓
입력
수정
조류인플루엔자·구제역 여파로 알가공업 감소
식약처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통계' 발표
1인가구와 맞벌이 가족의 증가에 힘입어 간편식품 시장은 커지지만, 저출산의 영향으로 분유와 조제유류 등의 유가공품 시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통계자료'를 보면, 작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3조3천억원으로 2015년과 비교해 4.1% 성장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4.5%이다.
업종별로는 식품제조가공업 40조5천549억원(55.3%)으로 가장 많았고, 식육포장처리업 12조8천733억원(17.6%), 유가공업 6조241억원(8.2%), 용기·포장지제조업(옹기류포함) 5조9천806억원(8.2%), 식육가공업 4조7천905억원(6.5%), 건강기능식품제조업 1조4천715억원(2.0%), 식품첨가물제조업 1조2천982억원(1.7%) 등의 순이었다.이 중 2015년 가짜 백수오 사태로 뒷걸음질쳤던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생산은 2015년보다 29.9% 증가하면서 점차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등으로 원재료 가격 상승에다 계란 품귀현상이 맞물리면서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2015년 대비 각각 1.7%, 4.3% 감소했다.
식품유형별로 보면, 2015년과 마찬가지로 돼지고기 포장육(5조9천693억원)이 1위를 차지했다.이어 쇠고기 포장육(4조6천337억원), 닭고기 포장육(1조9천148억원), 양념육(1조5천211억원), 우유(1조4천130억원), 기타가공품(1조3천607억원), 소스류(조미식품 포함, 1조3천558억원), 탄산음료(1조2천778억원), 유탕면류(봉지라면 포함, 1조2천34억원), 소주(1조1천787억원) 등이었다.
특히 1인 가구와 맞벌이 가족 증가 등으로 간편식 관련 품목의 생산이 전년대비 증가하고, 저출산의 여파로 분유·조제유류 등 유가공품의 생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2015년에서 2016년 사이에 즉석조리·섭취식품은 1조391억원에서 1조1천440억원으로, 도시락은 7천650억원에서 9천726억원으로, 김치류는 9천283억원에서1조334억원으로, 식육가공품(햄·소시지·베이컨류)은 1조3천657억원에서 1조5천507억원으로 각각 늘었다.반면, 유가공품(분유·조제유류)은 2015년 3천358억원에서 2016년 2천653억원으로 줄었다.
식품군별로는 2015년보다 소스·복합조미식품(2조715억원), 탄산음료(1조2천778억원), 과채음료·쥬스(7천785억원), 커피생산(1조6천498억원)이 증가했는데, 이는 조리문화의 다변화, 피자·치킨·족발 등 배달식품의 증가, 과일쥬스·커피 인기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한 해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국내 제조업체는 롯데칠성음료㈜(1조8천352억원), ㈜농심(1조5천665억원), CJ제일제당㈜(1조5천529억원), 하이트진로㈜(1조1천265억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1천180억원) 등 5곳으로 2015년 7곳보다 2곳(㈜오리온, 롯데제과㈜)이 줄었다.
특히 ㈜오리온의 생산실적은 2015년 1조828억원(5위)에서 2016년 6천756억원(9위)으로 급감했다.
식품업계에서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로 중국시장에서 고전한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들 5곳의 생산실적은 작년 국내 식품산업 전체 생산실적의 9.8%를 차지했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보고 업체수는 3만8천698곳이며, 이 중 10인 이하 업체(법인 기준)가 전체 업체의 약 80%에 달했다.
1∼10인 업체의 생산액 규모는 전체 식품산업의 10.5%에 그쳐 여전히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shg@yna.co.kr
식약처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통계' 발표
1인가구와 맞벌이 가족의 증가에 힘입어 간편식품 시장은 커지지만, 저출산의 영향으로 분유와 조제유류 등의 유가공품 시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통계자료'를 보면, 작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3조3천억원으로 2015년과 비교해 4.1% 성장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4.5%이다.
업종별로는 식품제조가공업 40조5천549억원(55.3%)으로 가장 많았고, 식육포장처리업 12조8천733억원(17.6%), 유가공업 6조241억원(8.2%), 용기·포장지제조업(옹기류포함) 5조9천806억원(8.2%), 식육가공업 4조7천905억원(6.5%), 건강기능식품제조업 1조4천715억원(2.0%), 식품첨가물제조업 1조2천982억원(1.7%) 등의 순이었다.이 중 2015년 가짜 백수오 사태로 뒷걸음질쳤던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생산은 2015년보다 29.9% 증가하면서 점차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등으로 원재료 가격 상승에다 계란 품귀현상이 맞물리면서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2015년 대비 각각 1.7%, 4.3% 감소했다.
식품유형별로 보면, 2015년과 마찬가지로 돼지고기 포장육(5조9천693억원)이 1위를 차지했다.이어 쇠고기 포장육(4조6천337억원), 닭고기 포장육(1조9천148억원), 양념육(1조5천211억원), 우유(1조4천130억원), 기타가공품(1조3천607억원), 소스류(조미식품 포함, 1조3천558억원), 탄산음료(1조2천778억원), 유탕면류(봉지라면 포함, 1조2천34억원), 소주(1조1천787억원) 등이었다.
특히 1인 가구와 맞벌이 가족 증가 등으로 간편식 관련 품목의 생산이 전년대비 증가하고, 저출산의 여파로 분유·조제유류 등 유가공품의 생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2015년에서 2016년 사이에 즉석조리·섭취식품은 1조391억원에서 1조1천440억원으로, 도시락은 7천650억원에서 9천726억원으로, 김치류는 9천283억원에서1조334억원으로, 식육가공품(햄·소시지·베이컨류)은 1조3천657억원에서 1조5천507억원으로 각각 늘었다.반면, 유가공품(분유·조제유류)은 2015년 3천358억원에서 2016년 2천653억원으로 줄었다.
식품군별로는 2015년보다 소스·복합조미식품(2조715억원), 탄산음료(1조2천778억원), 과채음료·쥬스(7천785억원), 커피생산(1조6천498억원)이 증가했는데, 이는 조리문화의 다변화, 피자·치킨·족발 등 배달식품의 증가, 과일쥬스·커피 인기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한 해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국내 제조업체는 롯데칠성음료㈜(1조8천352억원), ㈜농심(1조5천665억원), CJ제일제당㈜(1조5천529억원), 하이트진로㈜(1조1천265억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1천180억원) 등 5곳으로 2015년 7곳보다 2곳(㈜오리온, 롯데제과㈜)이 줄었다.
특히 ㈜오리온의 생산실적은 2015년 1조828억원(5위)에서 2016년 6천756억원(9위)으로 급감했다.
식품업계에서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로 중국시장에서 고전한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들 5곳의 생산실적은 작년 국내 식품산업 전체 생산실적의 9.8%를 차지했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보고 업체수는 3만8천698곳이며, 이 중 10인 이하 업체(법인 기준)가 전체 업체의 약 80%에 달했다.
1∼10인 업체의 생산액 규모는 전체 식품산업의 10.5%에 그쳐 여전히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