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뚫은 스크린X…상영관 1000개로 늘린다
입력
수정
지면A30
글로벌시장 본격 공략 나선 CJ CGV
스크린X 관련 국내 CG(컴퓨터그래픽)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스크린X 버전은 할리우드 영화와 국내 영화에 국내 CG 기술을 입혀 각국 스크린X 상영관에서 선보이기 때문이다. ‘킹스맨 : 골든서클’ 스크린X 버전은 20세기폭스사가 투자배급해 제작한 완성작 중 24분 분량의 원본 영상을 CJ CGV 측이 넘겨받아 국내 CG업체 4개사에 제작을 맡겨 스크린X 버전으로 2개월간 추가 작업했다. 20세기폭스 영화는 처음이다. 도입부의 8분짜리 택시 격투신은 CG업체 지노드의 35명 직원이 작업했다. 8분짜리 곤돌라 추격신은 라스카 직원 20명, 후반부 포피랜드 총격전은 투엘과 밀크 등 2개 업체, 직원 60명이 각각 투입됐다. 총 115명의 인력의 2개월 일자리가 마련된 셈이다.
스크린X사업은 편당 평균 2개월간 80명씩 고용창출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올 한 해 동안 160명 이상의 정규직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CJ CGV 측은 보고 있다. 최 본부장은 “스크린X 버전을 2020년까지 연간 50편 규모로 늘리고 스크린X 상영관도 현재 세계 127개에서 1000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연간 500억원의 CG 물량과 6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여기에 할리우드 영화사 관계자들이 스크린X 버전의 CG 기술력을 높이 평가한 만큼 할리우드 영화 수주가 추가로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물량이 줄어드는 국내 CG업계에 단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CG시장은 연간 3000억원 규모다. 이 중 중국 물량은 3분의 1 수준인 약 1000억원에 이른다. 업계 종사자는 2000명 안팎으로 추산된다.CG 작업 비용은 CJ CGV가 편당 10억원 안팎을 전액 투자하고, 각국에서 티켓 가격을 2000~3000원씩 더 받아 3분의 1가량을 돌려받는 수익 구조다.
스크린X 상영관 수출도 기대된다. 스크린X 상영관은 대부분 CJ CGV 체인 극장에 마련돼 있지만 중국 완다시네마 등 해외 극장에도 14개 관을 수출했다. 내년 말까지 38개 관이 외국 극장에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스크린X 상영관은 기존 일반 상영관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비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3억원 정도다. 스크린X 기술을 개발한 김영휘 카이 대표는 “일반 상영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어서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 진출하기 쉽다”며 “앞으로 비용을 더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계속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재혁 대중문화 전문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