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농지은행 통해 청년농 정착 도와…5년간 여의도 면적 45배 농지 지원

다시 뛰는 공기업
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 지원을 받은 진봉호 씨가 농기계를 운전하고 있다. /농어촌공사 제공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정승)가 올 들어 20·30대 청년농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농지은행’을 통해 만 20~39세 청년에게 농지를 지원하고 농촌 정착을 돕고 있다. 올해 8월까지 2030세대 청년농에 대한 지원면적은 작년보다 16% 증가했다.○농지은행으로 ‘청년농 농지 고민’ 해결

국내 자동차 대기업에서 연구직으로 일했던 진봉호 씨(31)는 4년 전 경기 평택시 오성면으로 귀농했다.

귀농 초기 진씨의 논은 0.5㏊에 불과했다. 영농 첫해엔 고작 1000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농사를 계속할지 심각한 고민에 빠졌던 진씨는 어느 날 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 2030세대 농지지원 사업’을 접했다.연 1~2%의 저렴한 이자로 최장 30년까지 융자해준다는 말에 귀가 솔깃했다. 진씨는 곧 농지은행을 통해 논을 6.5㏊까지 장기임차했다. 농지를 늘리자 연소득은 6000만원으로 불어났다.

진씨는 “농업인이 되겠다는 꿈은 컸지만 경제력과 경험이 부족한 내게 농지은행은 희망을 실현해 줬다”며 “농지를 추가로 임차해 밀을 심는 등 영농 구조를 다각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촌의 고령화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가인구 중 65세 이상 비중은 2005년 29.1%에서 지난해 40.3%까지 증가했다. 농촌의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농을 육성해 농촌공동체를 보존해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이런 농촌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어촌공사가 운영하는 농지은행이 각광받고 있다.

농지은행은 농지를 직접 경작하기 어려운 고령농에게 연금을 지급하고 농지를 매입해 농사를 짓고 싶지만 농지가 부족한 청년농 등에게 제공하는 사업이다. 사업자금과 경험이 부족한 청년농이 농업 분야에 진입할 수 있게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적인 영농 기반을 마련하도록 돕자는 취지다.

농지은행 사업 중 2030세대 농지지원 사업은 만 20~39세 청년에게 농지를 지원해 농촌 정착을 돕는 데 주안점을 뒀다. 단 4년제 대학교 농과대학이나 한국농수산대, 농업전문학교, 농업계 고교를 졸업했다면 20세 미만 또는 39~44세도 신청할 수 있다. 매매자금은 연리 1~2%로 최장 30년까지, 임대차는 5년 이상 장기로 지원한다.○20·30대 청년 최우선 지원

농지은행의 청년농 농지지원 사업은 지원 규모가 2012년 2030㏊에서 2014년 2419㏊, 지난해에는 3187㏊로 연평균 12%씩 늘고 있다. 이 기간 지원한 농지 규모는 여의도 면적의 45배인 1만3141㏊에 달한다. 올해 8월까지 지원 면적은 2263㏊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농식품부와 농어촌공사는 청년농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20~30대 청년이 최우선적으로 장기임대차, 매입비축임대, 임대수탁 등 농지 임차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최근 개정했다.

농지은행 사업 중 하나인 ‘농지 매입비축사업’ 역시 고령·은퇴 농가로부터 농지를 매입해 창업농 등 젊은 영농인에게 임대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농지를 매도한 농가의 평균연령은 68세, 임차한 농가는 46세로 22세 차이가 났다.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은 출시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가입 건수가 연평균 12%씩 증가하고 있다. 올해 8월까지 누적 가입 건수는 8137건이며 평균 월 지급액은 약 92만원에 달했다. 농지은행 사업에 대해 문의하려면 농어촌공사가 운영하는 농지은행 포털(www.fbo.or.kr)을 이용하면 된다.정승 농어촌공사 사장은 “농업인의 창업부터 은퇴까지 생애단계별 맞춤형 농지은행 지원체계를 구축해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농업구조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