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관심도 10년새 하락… "이공계 기피 심각"
입력
수정
우리 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10년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은 물론 미래를 이끌 청소년층의 관심이 눈에 띄게 줄었다.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홍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과학창의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이해도’ 조사결과를 보면 지난해 성인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는 37.6점으로 10년전인 2006년 48.3점보다 크게 내려갔다. 지난해 청소년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도 첫 조사를 시행한 2005년 이후 최저치에 머물렀다. 이 조사는 지난해 11월 전국의 만 13~69세 청소년 500명과 성인 남녀 1000명을 일대일로 만나 개별 면접을 통해 67개 문항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높고 세대별로는 19~29세 미만의 연령층에서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대도시 지역이 관심도가 높았다. 서울이 가장 높고 경기·인천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정부 출연연구기관들이 모여있는 대전·충남이 이례적으로 가장 낮았다.
청소년의 과학에 대한 관심도는 성인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대학 진학 직전인 만 18세에서 가장 관심도가 높았다. 하지만 성인처럼 대도시 청소년들의 관심도가 중소도시와 농어촌에 사는 청소년보다 높은 편중 현상을 보였다.
사회발전에 가장 기여하는 직업을 묻는 질문에 성인 10명 중 3명, 청소년 10명 중 4명이 ‘과학기술인’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한국 과학의 현황을 묻는 질문에 성인과 청소년은 엇갈린 평가를 내놨다. ‘한국 과학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올라섰나’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성인은 2014년 8.1%에서 지난해 10%로 늘었다. 반면 선진국 수준에 근접했다는평가를 내린 청소년은 2012년 17.4%에서 2014년 13%, 지난해 9.8%로 해마다 내려갔다.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이공계 기피현상이 심각하다는 성인 응답자는 2014년 59.8%에서 2016년 66.5%로 올라갔다. 같은 답을 내놓은 청소년 응답자도 2014년 50%에서 2016년 62.8%로 늘었다.과학창의재단 관계자는 “소프트웨어 교육과 창조경제 확산사업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과학문화확산 사업에 투입되는 인력과 예산이 점점 줄었다”며 “이공계 기피 현상 해소 대책과 이공계 인력 육성 정책을 정교하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홍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과학창의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이해도’ 조사결과를 보면 지난해 성인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는 37.6점으로 10년전인 2006년 48.3점보다 크게 내려갔다. 지난해 청소년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도 첫 조사를 시행한 2005년 이후 최저치에 머물렀다. 이 조사는 지난해 11월 전국의 만 13~69세 청소년 500명과 성인 남녀 1000명을 일대일로 만나 개별 면접을 통해 67개 문항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높고 세대별로는 19~29세 미만의 연령층에서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대도시 지역이 관심도가 높았다. 서울이 가장 높고 경기·인천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정부 출연연구기관들이 모여있는 대전·충남이 이례적으로 가장 낮았다.
청소년의 과학에 대한 관심도는 성인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대학 진학 직전인 만 18세에서 가장 관심도가 높았다. 하지만 성인처럼 대도시 청소년들의 관심도가 중소도시와 농어촌에 사는 청소년보다 높은 편중 현상을 보였다.
사회발전에 가장 기여하는 직업을 묻는 질문에 성인 10명 중 3명, 청소년 10명 중 4명이 ‘과학기술인’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한국 과학의 현황을 묻는 질문에 성인과 청소년은 엇갈린 평가를 내놨다. ‘한국 과학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올라섰나’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성인은 2014년 8.1%에서 지난해 10%로 늘었다. 반면 선진국 수준에 근접했다는평가를 내린 청소년은 2012년 17.4%에서 2014년 13%, 지난해 9.8%로 해마다 내려갔다.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이공계 기피현상이 심각하다는 성인 응답자는 2014년 59.8%에서 2016년 66.5%로 올라갔다. 같은 답을 내놓은 청소년 응답자도 2014년 50%에서 2016년 62.8%로 늘었다.과학창의재단 관계자는 “소프트웨어 교육과 창조경제 확산사업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과학문화확산 사업에 투입되는 인력과 예산이 점점 줄었다”며 “이공계 기피 현상 해소 대책과 이공계 인력 육성 정책을 정교하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