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탈퇴' 미국·이스라엘, 反이스라엘 편견에 뿔났다

미국 이스라엘, 유네스코 탈퇴 선언 /사진=청와대 사진기자단
미국과 이스라엘이 유네스코(UNESC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탈퇴를 선언했다.

12일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성명을 내고 "폭력적 극단주의에 대한 싸움에서 교육과 문화교류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미국이 이 문제를 주도하는 우리 기구를 탈퇴하는 것은 깊이 유감스럽다"라며 "유엔 가족들과 다자외교의 상실"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유네스코 탈퇴 공식 통보 사실을 알리면서 "이번 결정은 가볍게 내려진 것이 아니다. 유네스코의 체납금 증가, 유네스코 조직의 근본적 개혁 필요성, 유네스코의 계속되는 반이스라엘 편견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반영한다"라고 전했다.

미국의 유네스코 탈퇴는 지난 1984년 이후 두번째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시절 미국 정부는 유네스코가 소련 쪽으로 기울었다면서 정치적 편향성과 방만한 운영 등을 주장하며 유네스코를 탈퇴했다가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인 2002년 10월에야 재가입했다.

하지만 미국은 버락 오바마 정부 시절인 2011년 유네스코가 팔레스타인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이자 유네스코에 내는 분담금에서 연간 8천만 달러(약 907억 원) 이상을 삭감해버렸다. 유네스코가 역사 유산과 관련된 문제에서 이스라엘보다 팔레스타인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인 것에 대한 조치다. 유네스코 규정에 따라 미국의 탈퇴는 내년 12월 3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분담금 삭감 조치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여전히 유네스코의 최대 후원국인 만큼, 미국의 이번 결정이 유네스코의 향후 운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잇따라 탈퇴를 선언한 유네스코(UNESCO)는 1945년 2차대전 종전 후 세계평화에 대한 열망에 따라 유엔과 동시에 설립된 유엔의 교육·문화 부문 산하 기구다.

그러나 인류 평화 증진과 보편가치 제고라는 목표와 달리 유네스코는 최근 몇 년간 각국이 상반된 역사 해석과 정치적 입장에 따라 치열한 물밑 싸움을 벌이며 반목을 거듭해온 외교의 '전쟁터'였다. 갈등의 축으로 부상한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은 총 1073개가 등재돼있다.중동 문제 외에도 '군함도' 등 조선인 강제노역의 한이 서린 일본 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도 한·일 간의 입장이 뚜렷이 갈렸다.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문제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과 중국 등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의 피해를 본 8개국 14개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해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지만, 일본은 이에 반대하는 막후 외교전을 치밀하게 펴고 있다.

특히 일본은 위안부 기록물 유산 등재 저지를 위해 유네스코를 상대로 분담금 감축 카드를 들고 압박하고 있다.한국 정부는 시민사회단체가 등재의 주체라는 점에서 전면에 나서지는 않고 있지만, 유네스코 회원국들을 상대로 중국 등과 함께 막후 외교전을 벌이고 있다.

각국은 시대적 상황과 집권 세력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유네스코의 탈퇴와 재가입을 반복해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