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줄기세포' 특허 일본 37건 vs 한국 6건

규제에 묶인 한국과 격차 커져

정부 전폭 지원 받는 일본 기업
난치병 치료·신약 개발 성과
일본 교토에 본사가 있는 바이오 벤처기업 메가카리온. 임직원이 29명에 불과한 이 회사는 최근 헌혈로만 얻을 수 있던 혈소판을 차세대 줄기세포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와 겐지로 메가카리온 대표는 “혈액 분야에서는 혈액형 발견 이후 100여 년 만의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이 차세대 줄기세포로 꼽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활용한 재생의료 분야에서 속속 성과를 내고 있다. 파킨슨병, 혈소판감소증, 심장병 등 난치병 치료제도 개발 중이다. iPS세포로 죽은 세포를 재생해 질환을 치료하는 원리다.iPS세포 제조법을 발명한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교수가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이후 일본 정부가 집중적으로 지원한 데 힘입은 결과다.

일본은 2014년 세계 최초로 황반변성 환자에게 iPS세포로 만든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 초에는 다른 사람 세포로 제조한 iPS세포를 이용한 임상시험을 했다. 줄기세포 치료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iPS세포 등 차세대 줄기세포 연구가 지지부진하다. 연골 재생 등 1세대 줄기세포로 분류되는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머무는 수준이다. ‘황우석 사태’ 이후 생명윤리법 등이 강화된 데다 차세대 줄기세포 분야의 정부 지원이 줄어든 탓이다. 등록된 iPS세포 관련 특허는 일본이 37건인 데 비해 한국은 6건에 불과하다.

송지환 차병원 줄기세포 연구소 교수는 “일본 정부는 수천억원의 지원금을 쏟아부으며 차세대 줄기세포 기술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한국도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토·도쿄=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