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주택담보대출 시중금리 인상…'10월 금통위'에 쏠린 눈
입력
수정
17일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일제히 오르자 이번 주 열리는 한국은행의 통화정책회의(19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외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커졌지만, 채권전문가들은 만장일치 동결(1.25%)을 예상하고 있다. 다만 이례적으로 '소수의견'이 나올 수 있다고 경계했다. 주요 은행은 이날 전국은행연합회가 매달 발표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일제히 올렸다. 채권금리도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외국인의 자금이탈 우려와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전망이 겹치면서 연일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채권전략 담당 연구원은 "그간 한국은행은 기준금리가 중립금리보다 크게 낮아서 통화완화의 정도를 줄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왔다"며 "이번 금통위에서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다시 한번 상향 조정하면서 금리인상 시그널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8월 금통위' 의사록의 경우 사실상 북한 리스크가 없었다면 기준금리 인상을 시도했을 것이라는 게 박 연구원의 판단이다. 그는 특히 "10월 금통위에선 금리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지만 현대차투자증권 채권담당 연구원도 "10월 금통위는 매파적(강경)일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물가와 성장률 전망치의 동반 상향이 예상되므로 소수의견이 등장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현재 금통위 구성위원들의 경우 여지껏 소수의견을 제시한 사례가 없어 소수의견을 제기하는데 주저할 수 있다"며 "만일 금통위 결과가 만장일치 동결이더라도 작년 5월처럼 '표면적으로만 만장일치'로 이해해야 한다"라고 분석했다.
'북한 리스크'가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시점을 지연시키는 유일한 변수라는 게 이들 전문가의 지적이다. 그렇지만 위험이 장기화되고 외국인 자금유출로 이어질 경우 오히려 원화채권에 대한 리스크 프리미엄을 높여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수연 한화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은 올해 들어 통화정책과 관련해 가계부채 누증과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중점적으로 우려해왔지만, 이번 금통위에서는 이를 조금 장기적인 사안으로 남겨두고 북한 리스크에 따른 외국인 자금의 유출 가능성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더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기준금리 동결쪽에 무게를 뒀다.
이렇게 10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지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경우 한국은행도 두 번 연속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과거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발생한 2000년의 경우 6개월 만에(역전75bp), 2006년의 경우 2개월 만에(역전50bp) 한국은행도 첫 금리인상에 나섰다"면서 "당시 한미 기준금리는 2000년에 최대 150bp, 2006년에는 100bp까지 벌어졌는데 각각 5개월, 3개월씩 유지되다 한국은행이 추가 금리인상에 나서면서 역전폭이 축소됐다"고 전했다. 최대 역전폭과 한국 기준금리 비율을 계산하면 두 경우 모두 30%를 넘지 않았다는 것. 그는 "이와 같은 기준을 적용한다면 미국이 내년에 2.25%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국은행은 두 번 연속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라고 했다.
정현영 한경닷컴 기자 jhy@hankyung.com
국내외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커졌지만, 채권전문가들은 만장일치 동결(1.25%)을 예상하고 있다. 다만 이례적으로 '소수의견'이 나올 수 있다고 경계했다. 주요 은행은 이날 전국은행연합회가 매달 발표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일제히 올렸다. 채권금리도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외국인의 자금이탈 우려와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전망이 겹치면서 연일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채권전략 담당 연구원은 "그간 한국은행은 기준금리가 중립금리보다 크게 낮아서 통화완화의 정도를 줄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왔다"며 "이번 금통위에서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다시 한번 상향 조정하면서 금리인상 시그널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8월 금통위' 의사록의 경우 사실상 북한 리스크가 없었다면 기준금리 인상을 시도했을 것이라는 게 박 연구원의 판단이다. 그는 특히 "10월 금통위에선 금리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지만 현대차투자증권 채권담당 연구원도 "10월 금통위는 매파적(강경)일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물가와 성장률 전망치의 동반 상향이 예상되므로 소수의견이 등장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현재 금통위 구성위원들의 경우 여지껏 소수의견을 제시한 사례가 없어 소수의견을 제기하는데 주저할 수 있다"며 "만일 금통위 결과가 만장일치 동결이더라도 작년 5월처럼 '표면적으로만 만장일치'로 이해해야 한다"라고 분석했다.
'북한 리스크'가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시점을 지연시키는 유일한 변수라는 게 이들 전문가의 지적이다. 그렇지만 위험이 장기화되고 외국인 자금유출로 이어질 경우 오히려 원화채권에 대한 리스크 프리미엄을 높여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수연 한화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은 올해 들어 통화정책과 관련해 가계부채 누증과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중점적으로 우려해왔지만, 이번 금통위에서는 이를 조금 장기적인 사안으로 남겨두고 북한 리스크에 따른 외국인 자금의 유출 가능성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더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기준금리 동결쪽에 무게를 뒀다.
이렇게 10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지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경우 한국은행도 두 번 연속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과거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발생한 2000년의 경우 6개월 만에(역전75bp), 2006년의 경우 2개월 만에(역전50bp) 한국은행도 첫 금리인상에 나섰다"면서 "당시 한미 기준금리는 2000년에 최대 150bp, 2006년에는 100bp까지 벌어졌는데 각각 5개월, 3개월씩 유지되다 한국은행이 추가 금리인상에 나서면서 역전폭이 축소됐다"고 전했다. 최대 역전폭과 한국 기준금리 비율을 계산하면 두 경우 모두 30%를 넘지 않았다는 것. 그는 "이와 같은 기준을 적용한다면 미국이 내년에 2.25%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국은행은 두 번 연속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라고 했다.
정현영 한경닷컴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