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남북한 보건의료 격차 해소 위해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 이어져야"

통일보건의료학회 학술대회
“북한 주민 건강은 북한 의사가 책임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북한 의료인은 충분하다. 다만 이들이 현대식 교육을 받지 못했고 의료 기자재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 현대화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우택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연세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사진)은 최근 동국대 서울캠퍼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갑자기 다가올 수 있는 통일에 대비해야 한다”며 “학회를 통해 이에 대한 준비를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2014년 9월 출범한 통일보건의료학회는 한반도에 사는 사람들의 생명 건강 복지 행복을 위한 보건의료 분야 전문가 단체다.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 남북한 주민의 건강 관련 주제를 발굴하고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학회는 지난 13일 ‘통일준비와 보건의료 정책’을 주제로 추계 학술대회도 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등 공공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통일을 대비해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전 이사장은 “통일을 주제로 보건분야 국가 공공기관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북한 핵 문제 등 안보 위기 상황이 계속되면서 통일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많이 줄었다. 간담회에 참석한 의료진은 “이 같은 분위기에도 보건의료 개발 협력은 계속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김신곤 학술이사(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북한에서 유행하는 감염병이 남한에도 영향을 주는 등 북한 주민의 건강 상황은 통일 이전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같은 질환이 북한에서 발생했다면 그 파장은 더욱 컸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는 “유전적으로 동일한데 70년 넘게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것은 남북한이 세계적으로 유일하다”며 “탈북주민 등을 통해 건강 양상을 분석하고 통일 후 북한에서 확산될 가능성이 있는 질환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보건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류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정치 이슈에 따라 교류 협력이 끊기는 일이 빈번하다. 2007년 남북이 약속한 감염병 관리 계획, 북한 인민병원 현대화 사업 등은 모두 수년째 중단됐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