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근대의 시작을 알린 루터의 종교개혁 500년
입력
수정
지면S1
10월31일은 마르틴 루터(1483~1546)가 종교개혁을 외친 지 500주년이 되는 날이다. 1517년 이날 루터는 독일 튀링겐주 비텐베르크 성(城) 교회 문에 교회와 교황의 타락을 비판하는 ‘95개조 반박문’을 내걸고 종교개혁에 나섰다. 루터는 ‘사람의 종교’를 버리고 ‘하느님의 종교’로 돌아가기를 원했다.
루터가 수도원 수도사로 살던 중세 시대의 교회와 교황은 많이 타락했다. 교황 레오10세와 교회는 면죄부를 팔았다. 살인, 신성모독, 도둑질, 위증, 마술 등의 죄를 지은 사람도 면죄부를 사면 벌을 받지 않는다는 식으로 면죄부를 판매했다. 베드로 대성당 건립 자금을 마련한다는 명분이 있었지만 면죄부 판매는 교리에 어긋난 상거래에 불과했다. 또 당시엔 추기경직과 주교직이 뒷돈으로 거래되는 타락상도 빈번했다. 교황의 사치생활로 바티칸 재정이 파탄 직전까지 몰리기도 했다.이를 오랫동안 지켜본 루터는 “교황의 면죄부로 모든 형벌을 면제받고 구원받을 수 있다고 말하면 잘못된 생각이며 구원을 돈과 연관짓는 행위는 신을 모독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의 반박문은 67년 전 발명된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덕분에 전체 유럽으로 빠르게 배포됐다. 인쇄술이라는 기술혁신이 종교개혁의 전제조건이자 성공요인이었던 셈이다.
교황에 반기를 든 루터는 결국 그 유명한 ‘보름스 칙령’에 따라 이단자로 몰려 파문당했고 바르트부르크성에서 숨어지내야 했다. 그곳에서 그는 ‘성경 혁명’을 일으켰다. 당시 성경은 어려운 라틴어로 쓰여 있었고 아무나 가질 수 없을 정도로 귀했다. 루터는 신약성서를 평민들이 쓰는 독일어로 번역해 냈다. 루터 성경은 인쇄술과 맞물려 불티나게 팔렸다. 루터 성경은 영국 등 여러 나라 번역 성경의 표본이 됐다.
루터의 개혁은 종교 이외의 영역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종교개혁에 담긴 여러 사상을 알아야 프로테스탄트와 자본주의 등장을 이해할 수 있다. 또 종교와 영토, 종교와 민족의 개념도 이때 등장했다. 근대의 핵심인 개인과 자유, 시민이라는 개념도 루터에서 비롯됐다. 루터 이전과 이후의 서양문명은 완전히 달라졌다고 하는 이유다. 종교개혁 500주년의 의미를 4, 5면에서 더 알아보자.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dadad@hankyung.com
루터가 수도원 수도사로 살던 중세 시대의 교회와 교황은 많이 타락했다. 교황 레오10세와 교회는 면죄부를 팔았다. 살인, 신성모독, 도둑질, 위증, 마술 등의 죄를 지은 사람도 면죄부를 사면 벌을 받지 않는다는 식으로 면죄부를 판매했다. 베드로 대성당 건립 자금을 마련한다는 명분이 있었지만 면죄부 판매는 교리에 어긋난 상거래에 불과했다. 또 당시엔 추기경직과 주교직이 뒷돈으로 거래되는 타락상도 빈번했다. 교황의 사치생활로 바티칸 재정이 파탄 직전까지 몰리기도 했다.이를 오랫동안 지켜본 루터는 “교황의 면죄부로 모든 형벌을 면제받고 구원받을 수 있다고 말하면 잘못된 생각이며 구원을 돈과 연관짓는 행위는 신을 모독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의 반박문은 67년 전 발명된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덕분에 전체 유럽으로 빠르게 배포됐다. 인쇄술이라는 기술혁신이 종교개혁의 전제조건이자 성공요인이었던 셈이다.
교황에 반기를 든 루터는 결국 그 유명한 ‘보름스 칙령’에 따라 이단자로 몰려 파문당했고 바르트부르크성에서 숨어지내야 했다. 그곳에서 그는 ‘성경 혁명’을 일으켰다. 당시 성경은 어려운 라틴어로 쓰여 있었고 아무나 가질 수 없을 정도로 귀했다. 루터는 신약성서를 평민들이 쓰는 독일어로 번역해 냈다. 루터 성경은 인쇄술과 맞물려 불티나게 팔렸다. 루터 성경은 영국 등 여러 나라 번역 성경의 표본이 됐다.
루터의 개혁은 종교 이외의 영역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종교개혁에 담긴 여러 사상을 알아야 프로테스탄트와 자본주의 등장을 이해할 수 있다. 또 종교와 영토, 종교와 민족의 개념도 이때 등장했다. 근대의 핵심인 개인과 자유, 시민이라는 개념도 루터에서 비롯됐다. 루터 이전과 이후의 서양문명은 완전히 달라졌다고 하는 이유다. 종교개혁 500주년의 의미를 4, 5면에서 더 알아보자.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