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과 함께하는 라이프디자인 <220> 노후저축을 방해하는 '심리 편향' 극복하려면…
입력
수정
지면B1
행동경제학의 대표학자인 리처드 세일러 미국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가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 특성을 경제 문제에 적용한 학문이란 점에서 일반인에게도 큰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또 소비자행동 교정 등 정책 현장에서의 유용성 때문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비자정책위원회나 주요국 정부도 이 이론의 정책적 활용에 매우 적극적이다.
행동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심리적 편향 중 ‘근시안적 태도’라는 것이 있다. 앞날의 일보다 당장의 현상에 더 사로잡히는 것을 말한다. 근시안적 편향이 없는 A라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가 내후년의 105만원과 내년의 100만원을 동일하게 평가한다면, 다른 조건이 같을 때 내년의 105만원과 올해의 100만원도 가치가 똑같다고 생각할 것이다.그런데 사람들은 먼 미래의 두 시점 사이는 차이를 크게 느끼지 않으면서, 가까운 미래와 현재 사이에는 큰 차이를 둔다.
이 경우 내후년의 105만원을 내년의 100만원과 동일하게 평가하는 사람도 내년에 105만원을 받는 대신 올해 95만원을 받는 쪽을 선택할 수 있다. 내년과 내후년 사이는 금액 차이가 5%에 불과하지만, 올해와 내년은 10.5%나 차이가 난다. 그런데도 당장 내 손에 쥐어지는 돈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이다. 이런 심리를 행동경제학에서는 ‘쌍곡형 할인(hyperbolic discounting)’이라고 부른다.
시점 간의 가치를 평가할 때 쌍곡형 할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걸 이미 많은 심리실험 결과가 증명하고 있다. 이런 쌍곡형 할인의 함정에 빠지면, 올해 저축하는 게 부담스러워 내년으로 미룬다 해도 내년이 되면 또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 노후 대비 저축을 시작하지 않고 자꾸 뒤로 미루는 것도 쌍곡형 할인 심리 때문이다. 이런 때는 강제 저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매달 일정한 금액을 연금상품에 넣어두고 남은 돈만 쓰는 것이다.노후 자금을 저축해 미래에 얻게 될 편익을 마음속에 그려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미래의 내 모습을 구체적으로 상상해보면 일종의 보상감이 생기기 때문이다. 부드러운 개입으로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넛지(nudge)’ 이론을 적용해볼 수도 있다.
이를테면 저축금액이 100만원을 넘을 때마다 스스로에게 작은 상을 주는 것이다.
내게 노후 준비에 방해되는 심리적 편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를 극복하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보자.
조명기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
행동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심리적 편향 중 ‘근시안적 태도’라는 것이 있다. 앞날의 일보다 당장의 현상에 더 사로잡히는 것을 말한다. 근시안적 편향이 없는 A라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가 내후년의 105만원과 내년의 100만원을 동일하게 평가한다면, 다른 조건이 같을 때 내년의 105만원과 올해의 100만원도 가치가 똑같다고 생각할 것이다.그런데 사람들은 먼 미래의 두 시점 사이는 차이를 크게 느끼지 않으면서, 가까운 미래와 현재 사이에는 큰 차이를 둔다.
이 경우 내후년의 105만원을 내년의 100만원과 동일하게 평가하는 사람도 내년에 105만원을 받는 대신 올해 95만원을 받는 쪽을 선택할 수 있다. 내년과 내후년 사이는 금액 차이가 5%에 불과하지만, 올해와 내년은 10.5%나 차이가 난다. 그런데도 당장 내 손에 쥐어지는 돈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이다. 이런 심리를 행동경제학에서는 ‘쌍곡형 할인(hyperbolic discounting)’이라고 부른다.
시점 간의 가치를 평가할 때 쌍곡형 할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걸 이미 많은 심리실험 결과가 증명하고 있다. 이런 쌍곡형 할인의 함정에 빠지면, 올해 저축하는 게 부담스러워 내년으로 미룬다 해도 내년이 되면 또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 노후 대비 저축을 시작하지 않고 자꾸 뒤로 미루는 것도 쌍곡형 할인 심리 때문이다. 이런 때는 강제 저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매달 일정한 금액을 연금상품에 넣어두고 남은 돈만 쓰는 것이다.노후 자금을 저축해 미래에 얻게 될 편익을 마음속에 그려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미래의 내 모습을 구체적으로 상상해보면 일종의 보상감이 생기기 때문이다. 부드러운 개입으로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넛지(nudge)’ 이론을 적용해볼 수도 있다.
이를테면 저축금액이 100만원을 넘을 때마다 스스로에게 작은 상을 주는 것이다.
내게 노후 준비에 방해되는 심리적 편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를 극복하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보자.
조명기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