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0명 중 6명 "인공지능으로부터 일자리 위협 느낀다"
입력
수정
닐슨코리아 왓츠넥스트(What’s Next)그룹 조사
판매·서비스직, 생산직 등 인공지능으로 대체 예측

글로벌 통합 정보분석기업 닐슨코리아의 왓츠넥스트(What’s Next) 그룹은 '인공지능 기술 발달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지난 8월14일부터 7일간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로 신뢰수준은 95%에 최대 허용오차는 ±3.1%p다.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2명 중 1명(55.9%)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인간을 이롭게 하는 기술이라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65.2%)와 60대(66.2%) 남성이 인공지능 기술을 가장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전 연령대 중 30대(21.4%)가 인공지능 기술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일자리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더 많았다. 응답자 중 64.2%가 “인공지능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거나 위협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40대와 50대가 각각 68.1%, 68.6%로 부정적인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공지능으로 대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직업 분야는 “판매/서비스직(청소, 가사도우미, 주유원, 패스트푸드 판매 등)”이 5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생산직(금속 가공 기계 조작 등)”이 51.8%, “일반 작업직(기능/숙련공: 건설(건축, 도장, 콘크리트공) 및 광업 등”이 31.9%, “농업/임업/어업”이 22.7%로 집계됐다.인공지능으로 대체가 어렵다고 생각되는 분야는 “전문/자유직(변호사, 의사, 교수, 예술가 등)”이 48.0%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경영 관리직(기업체 부장 이상, 5급 이상 공무원)(27.1%)”, “경찰 등 공공 서비스(25.1%)”, “사무 기술직(차장 이하 사무직, 기술직, 교사 등)(17.8%)” 순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기술 도입 희망 영역에 대해서는 “헬스케어 및 질병 진단 및 처방”이 24.3%로 건강 증진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았다. 이어 “가사 도우미 및 효율화(가전 기기가 스스로 작동하는 등 집안일을 대신하거나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함) (22.9%)”, “보안/안전 관리(17.7%)”, “자율 주행 자동차(10.0%)”, “주거 환경 관리(냉난방, 환기, 조명을 원격으로 관리) (9.8%)” 순이었다.
최원석 닐슨코리아 전무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에 관한 인식 조사를 통해 한국인들이 인공지능에 거는 기대와 우려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인공지능으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인공지능의 발전이 사회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회에 적용되도록 공공과 민간 분야 모두 함께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