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경쟁률 3대1…70곳 뽑는데 212곳 신청

올해 70곳에서 추진되는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에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등이 200개가 넘는 사업을 신청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도시재생 뉴딜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표적인 부동산 공약으로, 재개발이나 재건축 등 전면 철거방식을 수반한 정비사업이 아니라 도시의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3~25일 사업계획서를 접수한 결과, 지자체가 신청한 사업 196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제안한 사업 16개 등 총 212개가 신청됐다고 26일 밝혔다.

국토부가 올해에는 70개 시범사업을 선정하기로 했으니 평균 3 대 1의 경쟁률을 보인 셈이다.

도시재생 뉴딜은 사업지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동네살리기(5만㎡ 이하), 주거지지원형(5만~10만㎡), 일반근린형(10만~15만㎡), 중심시가지형(20만㎡), 경제기반형(50만㎡) 등 5개 유형으로 진행된다.

주거 환경 개선에 초점이 맞춰진 우리동네살리기와 주거지지원형, 일반근린형으로 신청된 사업은 총 166개다.

이 중 지자체가 신청한 사업은 158개로 평균 경쟁률이 3.5 대 1에 달했다.

이들 사업은 해당 광역지자체가 선정권한을 가진다.

국토부는 도시재생 뉴딜에 지역 사회의 자율성을 보장해주기 위해 선정권한을 광역지자체로 위임했다.

이들 유형 중 가장 많은 신청이 접수된 것은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으로 총 64개에 달했다.

지자체가 61개, 공공기관이 3개 사업을 신청했다.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은 1천가구 이하 소형 주거지에서 소규모 정비사업과 함께 공용주차장과 연도형 상가 등을 짓는 등 주거여건을 개선하는 내용이다.

국토부가 선정하는 중심시가지형에는 지자체가 36개, 공공기관이 6개 등 총 42개 사업이 신청됐다.

중심시가지형은 상업지역과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도시의 활력을 높이는 재생 사업이다.

공공기관 제안 사업 16개 중 LH가 신청한 사업은 12개(75%)에 달했다.

그 외 경기도시공사가 2개, 대구도시공사와 인천도시공사가 각 1개 사업을 신청했다.

사업 후보지는 서면평가를 통해 2~3배수로 압축되고 현장방문과 종합평가 등을 거쳐 12월 중순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