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숙박 이어 택시까지… 일본 공유시장 '차이나 공습'에 떤다
입력
수정
지면A12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내년봄 도쿄서 서비스택시 호출 및 자동차 배차, 온라인 결제, 숙박공유 등 스마트폰을 매개로 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 업체가 일본 시장에 잇달아 진출하고 있다. 제조업은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를 양대 축으로 한 일본 업체의 아성이 워낙 공고해 해외 기업이 일본 내수시장을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
일본 최대 택시회사와 제휴
중국인 관광객 수요도 흡수
모바이크, 투자 공유사업 진출
알리바바도 전자결제 시장 공략
"일본, 규제에 막힌 IT서비스
중국 등 신흥국에 시장 뺏길 판"
하지만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는 모바일 서비스 분야는 일본 기업의 약점을 찾아 전략적으로 공략에 나선 중국 정보기술(IT) 기업에 시장을 통째로 내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세계 최대 배차업체 일본 상륙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택시 호출·공유차량 서비스업체인 중국 디디추싱이 일본 최대 택시업체 다이이치교통산업과 제휴를 맺고 내년 봄 도쿄도(都)에서 배차 앱(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시작한다.
디디추싱은 중국 시장에서 4억4000만 명의 차량 호출 서비스 앱 등록자를 확보해 서비스 규모 면에선 세계 최대 기업이다. 하루 2100만 회 이상의 차량 호출 서비스가 디디추싱 앱을 통해 이뤄진다.차량 공유업을 선도한 미국 우버테크놀로지스의 중국 사업을 인수하는 등 차량 배차 분야의 ‘공룡’으로 떠오르고 있다. 차량 호출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의 지도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지정하면 사업자에 등록된 운전자가 태우러 가는 구조다. 이용자는 앱을 통해 요금을 내면 된다.
디디추싱은 8700대의 택시를 운행하는 일본 최대 택시회사 다이이치교통과 제휴해 내년 봄부터 도쿄에서 서비스를 선보이기로 했다. 앱 서비스가 가능한 택시 500대로 시작해 수천 대 규모로 늘릴 예정이다. 일본 각 지역 택시회사와의 연대를 통한 서비스 규모 확대로 주도권을 쥔다는 계획이다.
다이이치교통도 디디추싱과의 제휴로 일본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의 택시 수요를 흡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쿄도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의 택시 이용률은 17.4%로 이용률이 50%가 넘는 지하철에 비해 저조하다.◆“신흥국에 시장 뺏기나” 우려
디디추싱에 앞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일본 진출이 잇따르고 있다. 중국 공유자전거 업체 모바이크가 8월부터 일본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숙박 공유 사이트 투자(途家)도 8월에 일본 라쿠텐과 제휴를 맺고 숙박 공유사업을 일본에서 시작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내년 봄 일본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결제 서비스 ‘알리페이’를 시작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일본에서 알리페이를 이용하려면 중국 은행에 계좌가 있어야 했지만, 일본 각 은행에 계좌가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별도 브랜드명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로손 등 편의점과 가전제품 판매점, 백화점 같은 기존 알리페이 가맹점을 중심으로 사용처를 확대해 연말까지 알리페이 가맹점을 5만 개로 늘리고 2020년까지 1000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중국 IT서비스 업체들은 일본의 보수적인 사회·문화적 특성과 과도한 규제 탓에 발전이 더딘 스마트폰 관련 서비스 분야를 집중 공략하고 있다. 성장성이 큰 시장에서 경쟁자인 일본 업체의 활약이 부진한 점을 주목한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기업이 규제 등에 걸려 팔짱만 끼고 있는 사이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기업에 선수를 빼앗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할 정도다.
디디추싱이 진출하는 배차 서비스 분야만 해도 일반 자가용 차량을 이용해 손님을 태우는 영업을 ‘백색택시’로 규정해 원칙적으로 금지한 까닭에 활성화되지 않았다. 알리바바가 공략에 나선 전자결제 시장도 일본 특유의 현금결제 선호 문화 탓에 산업 발전이 뒤처졌다.노무라종합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일본의 기업·소비자 간(B2C) 전자결제 규모는 올해 17조8000억엔(약 183조원) 정도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국내 결제시장만 15조위안(약 250조원)에 달하는 중국에 크게 뒤처져 있다. 더딘 서비스 발전 수준에 비해 선진국 일본의 소득 수준이 높아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한 중국 업체들이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